약시/치료: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336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7월 15일 (월)
잔글
잔글 (→‎기타)
19번째 줄: 19번째 줄:
=== 적색 필터 치료 ===
=== 적색 필터 치료 ===
중심외 주시가 있는 약시에서 적색 또는 청색 필터를 사용하여 주시양상을 바꾼 후 우세안에 가림 치료를 시작하는 시도가 있었다. 우세안을 가리면서 약시안 앞에 적색 필터를 대면, 중심외 주시를 하는 망막 부위는 황반부에 비해 원불세포가 적고 막대세포가 많아 적색빛이 효과적으로 자극하지 못하기 때문에 황반부를 사용하고 중심외주시 부위의 망막 사용을 억제하게 된다는 기전으로 적색 필터가 중심외 주시를 중심 주시나 망막 중심오목 부근 주시로 주시 양상을 바꾸는데 효과적 이라고 보고되었고<ref>Brinker WR et al. A new and practical treatment of eccentric fixation. A preliminary study. ''AJO''. 1963 May;55:1033-5. [https://pubmed.ncbi.nlm.nih.gov/14015513/ 연결]</ref>, 약시안의 망막 중심오목 부근을 자극하는 청색 필터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현재 실제 임상에서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중심외 주시가 있는 약시에서 적색 또는 청색 필터를 사용하여 주시양상을 바꾼 후 우세안에 가림 치료를 시작하는 시도가 있었다. 우세안을 가리면서 약시안 앞에 적색 필터를 대면, 중심외 주시를 하는 망막 부위는 황반부에 비해 원불세포가 적고 막대세포가 많아 적색빛이 효과적으로 자극하지 못하기 때문에 황반부를 사용하고 중심외주시 부위의 망막 사용을 억제하게 된다는 기전으로 적색 필터가 중심외 주시를 중심 주시나 망막 중심오목 부근 주시로 주시 양상을 바꾸는데 효과적 이라고 보고되었고<ref>Brinker WR et al. A new and practical treatment of eccentric fixation. A preliminary study. ''AJO''. 1963 May;55:1033-5. [https://pubmed.ncbi.nlm.nih.gov/14015513/ 연결]</ref>, 약시안의 망막 중심오목 부근을 자극하는 청색 필터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현재 실제 임상에서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 프리즘 ===
과거에 사시 약시에서 프리즘을 단독으로 혹은 가림 치료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시도되었으나 가림 치료보다 효과가 있다는 결과가 보고된 바 없고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다.
=== 약시 시능 교정 (pleoptics) ===
약시안을 잘 사용하도록 훈련하는 치료로, 기본적으로 약시가 심하여 중심외 주시가 발생한 나이 든 소아에서 시행하도록 고안되었는데, 망막 주변부에 비해 생리적으로 우세한 황반부를 자극하는 훈련으로 중심 주시를 회복시키는 것이다.
* Bangerter 방법 : 밝은 빛으로 중심외 주시하고 있는 주변 망막을 눈부시게 하고 (dazzling method) 간헐적인 불빛으로 황반부를 자극한다.
* Cuppers 방법 : 밝은 빛으 로 망막 주변을 자극하여 생긴 음성 잔상을 검사실 조명을 깜박거려 강화시키면서 Haidinger brush (coordinator) 로 주시 훈련을 하며 중심주시를 유도한다.
이 있다. 이런 방법은 현재 임상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데, 협조가 안되면 하기 힘들고 시간과 비용 소모가 큰 반면 치료 후 장기간 효과가 확실치 않으며 가림 치료에 비해 더 우월하다고 할 수 없고, 또 과거와 같은 중심외 주시를 동반한 심한 약시는 감소하여 대부분의 약시 환자가 가림 치료만으로 효과가 있는 어린 나이에 안과 의사에게 의뢰되기 때문이다.
=== CAM 시력 자극기 ===
Campbell 등<ref>Campbell FW et al. Preliminary results of a physiologically based treatment of amblyopia. ''BJO''. 1978 Nov;62(11):748-55. [https://pubmed.ncbi.nlm.nih.gov/718813/ 연결]</ref>은 우세안을 가린 상태에서 다양한 공간 주파수를 가지고 서서히 회전하는 시표 (CAMbridge stknulator) 로 짧은 시간 동안 강력히 약시안을 자극하여 약시 치료를 시도하였다. 이때 자극을 받는 동안만 우세안을 가리고 평상시에는 가릴 필요가 없다. 치료 원리는 회전 시표 (rotating gratings) 가 시피질 신경세포 (visual cortical neurons) 의 공간 방향감 (spatial orientation) 에 특이적인 자극을 제공한다는 것이지만 그 효과에 대해서는 확인되지 않았고, 현재 이 기계는 구입할 수 없다.
{{참고}}
{{참고}}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