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예방) |
잔글 (→감별 진단) |
||
48번째 줄: | 48번째 줄: | ||
== 감별 진단 == | == 감별 진단 == | ||
PCME는 다른 요인에 의한 황반 부종과의 감별이 필요하다. FA 소견만으로는 감별이 되지 않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환자의 병력, 수술 여부, 시력의 정도와 더불어 동반된 임상 양상, 즉 망막하 출혈, 망막 색소상피 박리의 존재, 망막내 출혈, 지방삼출물의 축적, 형광 누출의 비대칭성, 시신경의 염색 여부 등을 파악하여 감별해야 한다. 즉 앞서 설명한 요인들 중 시신경의 염색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양상들은 백내장 수술 후의 CME에서는 잘 관찰되지 않는 소견들이다. | |||
당뇨 망막병증 (DR) 이 있는 환자에서 백내장 수술 후의 ME가 발생한 경우 전형적인 당뇨 황반부종 (DME) 와의 감별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백내장 수술은 DME가 발생하는 중요한 요인이며 이 두 질환이 같이 나타나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 다만 DME에서는 망막 내 지질 침착이나 망막 출혈의 양상이 많이 나타나며 FA 상 형광의 누출이 조금 더 광범위한 범위에서 나타나며 시신경의 누출이 없다는 점들이 PCME와의 감별점들이다. 이 외에도 BRVO, AMD, RD 등에 의한 ME와의 감별도 중요하다. | |||
== 예방 == | == 예방 == | ||
백내장 수술 후 염증의 조절이 CME 예방에 핵심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위해 우선 고려해야 할 점은 수술 시에 후낭의 파열 없이 [[인공수정체]]의 삽입까지 안정적으로 수술을 끝내는 것이다. 그러나 예상치 못한 ME의 예방을 위해 술 전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NSAIDs) 안약 또는 스테로이드 안약의 사용이 ME의 위험을 낮추고 빠른 시력회복을 도울 수 있으며, 스테로이드 안약의 단독 사용보다는 NSAIDs 단독 혹은 병용 사용이 더 효과적이란 보고들이 있다. 14-16 비록 술 전 예방의 적절한 시기에 대해 연구된 보고는 없지만, 술 전 안약을 사용하는 것이 술 후 회복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ref>Yavas GF et al. Preop. topical indomethacin to prevent PCME. ''JCRS''. 2007 May;33(5):804-7. [https://pubmed.ncbi.nlm.nih.gov/17466852/ 연결]</ref> 수술 1~3일 전에 예방적으로 안약을 사용한 군에서 부종의 위험을 낮추었다는 보고도 있다<ref>Donnenfeld ED et al. Preop. ketorolac tromethamine 0.4% in PE outcomes : pharmacokinetic-response curve. ''JCRS''. 2006 Sep;32(9):1474-82. [https://pubmed.ncbi.nlm.nih.gov/16931258/ 연결]</ref>. | 백내장 수술 후 염증의 조절이 CME 예방에 핵심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위해 우선 고려해야 할 점은 수술 시에 후낭의 파열 없이 [[인공수정체]]의 삽입까지 안정적으로 수술을 끝내는 것이다. 그러나 예상치 못한 ME의 예방을 위해 술 전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NSAIDs) 안약 또는 스테로이드 안약의 사용이 ME의 위험을 낮추고 빠른 시력회복을 도울 수 있으며, 스테로이드 안약의 단독 사용보다는 NSAIDs 단독 혹은 병용 사용이 더 효과적이란 보고들이 있다. 14-16 비록 술 전 예방의 적절한 시기에 대해 연구된 보고는 없지만, 술 전 안약을 사용하는 것이 술 후 회복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ref>Yavas GF et al. Preop. topical indomethacin to prevent PCME. ''JCRS''. 2007 May;33(5):804-7. [https://pubmed.ncbi.nlm.nih.gov/17466852/ 연결]</ref> 수술 1~3일 전에 예방적으로 안약을 사용한 군에서 부종의 위험을 낮추었다는 보고도 있다<ref>Donnenfeld ED et al. Preop. ketorolac tromethamine 0.4% in PE outcomes : pharmacokinetic-response curve. ''JCRS''. 2006 Sep;32(9):1474-82. [https://pubmed.ncbi.nlm.nih.gov/16931258/ 연결]</re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