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내장 수술 후 낭포 황반부종: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잔글 (→‎역학)
15번째 줄: 15번째 줄:
== 위험 인자 ==
== 위험 인자 ==
=== 당뇨<ref name=r10>Chu CJ et al; United Kingdom Pseudophakic Macular Edema Study Group. RFs and Incidence of ME after Cataract Surgery : A Database Study of 81984 Eyes. ''Ophthalmology''. 2016 Feb;123(2):316-323. [https://pubmed.ncbi.nlm.nih.gov/26681390/ 연결]</ref> ===
=== 당뇨<ref name=r10>Chu CJ et al; United Kingdom Pseudophakic Macular Edema Study Group. RFs and Incidence of ME after Cataract Surgery : A Database Study of 81984 Eyes. ''Ophthalmology''. 2016 Feb;123(2):316-323. [https://pubmed.ncbi.nlm.nih.gov/26681390/ 연결]</ref> ===
[[당뇨 망막병증]] (DR) 이 동반되지 않더라도 부종의 위험성이 높으며 DR이 동반되는 경우와 황반부종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에는 위험성이 더 높다고 보고하였다.
[[당뇨 망막병증]] (DR) 이 동반되지 않더라도 부종의 위험성이 높으며 DR이 동반되는 경우와 황반부종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에는 위험성이 더 높다고 보고하였다<ref>Han JV et al. CME following cataract surgery : A review. ''Clin Exp Ophthalmol''. 2019 Apr;47(3):346-356. [https://pubmed.ncbi.nlm.nih.gov/30953417/ 연결]</ref>.
 
=== 포도막염의 과거력 ===
=== 포도막염의 과거력 ===
포도막염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이다<ref name=r10 />. 비록 조절이 잘된 포도막염이 있었던 경우에는 그 위험성이 크진 않지만, 수술 전 3개월 내에 활동성 염증이 있었던 경우에는 그 위험성이 더 커진다는 보고가 있다<ref>Bélair ML et al. Incidence of CME after cataract surgery in patients w and wo uveitis using OCT. ''AJO''. 2009 Jul;148(1):128-35.e2. [https://pubmed.ncbi.nlm.nih.gov/19403110/ 연결]</ref>.
포도막염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이다<ref name=r10 />. 비록 조절이 잘된 포도막염이 있었던 경우에는 그 위험성이 크진 않지만, 수술 전 3개월 내에 활동성 염증이 있었던 경우에는 그 위험성이 더 커진다는 보고가 있다<ref>Bélair ML et al. Incidence of CME after cataract surgery in patients w and wo uveitis using OCT. ''AJO''. 2009 Jul;148(1):128-35.e2. [https://pubmed.ncbi.nlm.nih.gov/19403110/ 연결]</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