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새 문서: '''건성안 : 치료'''{{각막}} == 4단계 == === 영구적 눈물점 폐쇄 === 영구적 눈물점 폐쇄는 눈물점 마개를 유지할 수 없거나 순응도가 좋지 못한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다. 열 소작 (thermal cauterization), 눈물점 마개 봉합, 눈물소관의 완전 파괴, 눈물소관 결찰 등의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최근에는 열 소작 방법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ref name=>Jones L et al. TFOS DEWS II Managem...)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9번째 줄: | 9번째 줄: | ||
=== 침샘 자가 이식 === | === 침샘 자가 이식 === | ||
점액질과 수성 눈물막의 결핍을 대체할 수 있으며, 완전 수성 눈물 결핍 ([[쉬르머 검사]] 1mm 이하) 을 동반한 심한 건성안 환자, 눈물점 폐쇄를 시행한 후에도 지속되는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 무방부제 인공눈물을 최소한 한 시간 간격으로 점안해야 하는 환자에게 적응된다<ref>Geerling G et al. Quality of salivary tears following autologous submandibular gland transplantation for severe dry eye.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1999 Jul;237(7):546-53. [https://pubmed.ncbi.nlm.nih.gov/10424304/ 연결]</ref>. | 점액질과 수성 눈물막의 결핍을 대체할 수 있으며, 완전 수성 눈물 결핍 ([[쉬르머 검사]] 1mm 이하) 을 동반한 심한 건성안 환자, 눈물점 폐쇄를 시행한 후에도 지속되는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 무방부제 인공눈물을 최소한 한 시간 간격으로 점안해야 하는 환자에게 적응된다<ref>Geerling G et al. Quality of salivary tears following autologous submandibular gland transplantation for severe dry eye.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1999 Jul;237(7):546-53. [https://pubmed.ncbi.nlm.nih.gov/10424304/ 연결]</ref>. |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