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성안/치료: 두 판 사이의 차이

746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7월 25일 (목)
잔글
잔글 (→‎1단계)
2번째 줄: 2번째 줄:
== 1단계 ==
== 1단계 ==
=== 환자 교육 및 환경 조절 ===
=== 환자 교육 및 환경 조절 ===
건성안의 상태, 주요 원인, 치료 방법, 경과 관찰, 환자가 가진 유발 요인 등에 대한 환자 교육과 증상 개선을 위한 환경 조절은 모든 건성안 환자들의 치료에 있어 중요하다. 또한 [[마이봄샘 기능 장애]]가 있는 환자의 경우 정기적인 눈꺼풀 온찜질과 세척에 대해서도 교육해야 한다. 또한 낮은 습도나 실내외 환경 유해 물질 등으로 인해서도 건성안이 유발 또는 악화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환경 개선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환자에게 충분한 설명이 필요하다.6一9
건성안의 상태, 주요 원인, 치료 방법, 경과 관찰, 환자가 가진 유발 요인 등에 대한 환자 교육과 증상 개선을 위한 환경 조절은 모든 건성안 환자들의 치료에 있어 중요하다. 또한 [[마이봄샘 기능 장애]]가 있는 환자의 경우 정기적인 눈꺼풀 온찜질과 세척에 대해서도 교육해야 한다. 또한 낮은 습도나 실내외 환경 유해 물질<ref>Hwang SH et al. Potential Importance of Ozone in the Association Between Outdoor Air Pollution and DED in South Korea. ''JAMA Ophthalmol''. 2016 May 1;134(5):503-510. [https://pubmed.ncbi.nlm.nih.gov/26967354/ 연결]</ref><ref>Kim Y et al. Different adverse effects of air pollutants on DED : Ozone, PM2.5, and PM10. ''Environ Pollut''. 2020 Oct;265(Pt B):115039. [https://pubmed.ncbi.nlm.nih.gov/32806456/ 연결]</ref> 등으로 인해서도 건성안이 유발 또는 악화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환경 개선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환자에게 충분한 설명이 필요하다<ref>Jung SJ et al. Effects of environment pollution on the ocular surface. ''Ocul Surf''. 2018 Apr;16(2):198-205. [https://pubmed.ncbi.nlm.nih.gov/29510225/ 연결]</ref><ref>Starr CE et al. DED flares : A rapid evidence assessment. ''Ocul Surf''. 2021 Oct;22:51-59. [https://pubmed.ncbi.nlm.nih.gov/34303844/ 연결]</ref>.
 
=== 눈물 대치 (윤활제) ===
=== 눈물 대치 (윤활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