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봄샘 기능 장애: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584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8월 12일 (월)
잔글
잔글 (→‎병인)
8번째 줄: 8번째 줄:
== 병인 ==
== 병인 ==
과도한 눈물의 증발로 인해 눈물의 삼투압 증가 및 염증의 증가로 이어지고 심한 경우 마이봄샘이 파괴될 수 있다.
과도한 눈물의 증발로 인해 눈물의 삼투압 증가 및 염증의 증가로 이어지고 심한 경우 마이봄샘이 파괴될 수 있다.
=== 미생물의 역할 ===
정상 눈꺼풀에서 표피 포도알균(94%), ''propionibacterium acne'' (87%), corynebacterium (64%) 이 흔히 동정된다<ref>McCulley JP et al. Bacterial aspects of chronic blepharitis. ''Trans Ophthalmol Soc U K (1962)''. 1986;105 (Pt 3):314-8. [https://pubmed.ncbi.nlm.nih.gov/3466455/ 연결]</ref>. 이와 달리 황색 포도알균은 정상인의 불과 13%에서만 발견된다. MGD 환자와 정상인 간 배양 양성률의 빈도는 비슷하지만 뒤눈꺼풀염이 있는 환자에서 정상인 대비 증식 속도가 더 높다.4
== 위험 인자 ==
== 위험 인자 ==
대표적으로 고령이 있으며<ref>Arita R et al. Noncontact IR meibography to document age-related changes of the MGs in a normal population. ''Ophthalmology''. 2008 May;115(5):911-5. [https://pubmed.ncbi.nlm.nih.gov/18452765/ 연결]</ref>, 그 외 성호르몬 중 특히 남성 호르몬의 부족<ref>Mantelli F et al. Effects of Sex Hormones on Ocular Surface Epithelia : Lessons Learned from PCOS. J Cell Physiol. 2016 May;231(5):971-5. [https://pubmed.ncbi.nlm.nih.gov/26491950/ 연결]</ref>, 장기간의 콘택트렌즈 착용, 눈썹 문신, 아토피 피부염, 모낭충 감염 등이 알려져 있다<ref>Knop E et al. The international workshop on MGD : report of the subcommittee on anatomy, physiology, and pathophysiology of the MG. ''IOVS''. 2011 Mar 30;52(4):1938-78. [https://pubmed.ncbi.nlm.nih.gov/21450915/ 연결]</ref>.
대표적으로 고령이 있으며<ref>Arita R et al. Noncontact IR meibography to document age-related changes of the MGs in a normal population. ''Ophthalmology''. 2008 May;115(5):911-5. [https://pubmed.ncbi.nlm.nih.gov/18452765/ 연결]</ref>, 그 외 성호르몬 중 특히 남성 호르몬의 부족<ref>Mantelli F et al. Effects of Sex Hormones on Ocular Surface Epithelia : Lessons Learned from PCOS. J Cell Physiol. 2016 May;231(5):971-5. [https://pubmed.ncbi.nlm.nih.gov/26491950/ 연결]</ref>, 장기간의 콘택트렌즈 착용, 눈썹 문신, 아토피 피부염, 모낭충 감염 등이 알려져 있다<ref>Knop E et al. The international workshop on MGD : report of the subcommittee on anatomy, physiology, and pathophysiology of the MG. ''IOVS''. 2011 Mar 30;52(4):1938-78. [https://pubmed.ncbi.nlm.nih.gov/21450915/ 연결]</ref>.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