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봄샘 기능 장애: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310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8월 12일 (월)
잔글
10번째 줄: 10번째 줄:
=== 미생물의 역할 ===
=== 미생물의 역할 ===
정상 눈꺼풀에서 표피 포도알균(94%), ''propionibacterium acne'' (87%), corynebacterium (64%) 이 흔히 동정된다<ref>McCulley JP et al. Bacterial aspects of chronic blepharitis. ''Trans Ophthalmol Soc U K (1962)''. 1986;105 (Pt 3):314-8. [https://pubmed.ncbi.nlm.nih.gov/3466455/ 연결]</ref>. 이와 달리 황색 포도알균은 정상인의 불과 13%에서만 발견된다. MGD 환자와 정상인 간 배양 양성률의 빈도는 비슷하지만 뒤눈꺼풀염이 있는 환자에서 정상인 대비 증식 속도가 더 높다<ref>Groden LR et al. Lid flora in blepharitis. ''Cornea''. 1991 Jan;10(1):50-3. [https://pubmed.ncbi.nlm.nih.gov/2019106/ 연결]</ref>.
정상 눈꺼풀에서 표피 포도알균(94%), ''propionibacterium acne'' (87%), corynebacterium (64%) 이 흔히 동정된다<ref>McCulley JP et al. Bacterial aspects of chronic blepharitis. ''Trans Ophthalmol Soc U K (1962)''. 1986;105 (Pt 3):314-8. [https://pubmed.ncbi.nlm.nih.gov/3466455/ 연결]</ref>. 이와 달리 황색 포도알균은 정상인의 불과 13%에서만 발견된다. MGD 환자와 정상인 간 배양 양성률의 빈도는 비슷하지만 뒤눈꺼풀염이 있는 환자에서 정상인 대비 증식 속도가 더 높다<ref>Groden LR et al. Lid flora in blepharitis. ''Cornea''. 1991 Jan;10(1):50-3. [https://pubmed.ncbi.nlm.nih.gov/2019106/ 연결]</ref>.
눈꺼풀 세균총은 많은 환자에서 MGD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눈꺼풀에서 흔히 동정되는 세 가지 세균은 황색 포도알균, ''corynebacterium'', ''propionibacterium acne''이며 이들은 지방 분해 효소를 생산해 마이봄 지질의 구성을 변화시킨다<ref>Dougherty JM et al. Bacterial lipases and chronic blepharitis. ''IOVS''. 1986 Apr;27(4):486-91. [https://pubmed.ncbi.nlm.nih.gov/3957566/ 연결]</ref>. 정상인과 눈꺼풀염 환자 간 지방 분해 효소의 생성에 차이를 보이는데, 표피 포도알균이 이러한 현상에 연관이 있으며 MGD의 몇몇 형태의 병태생리에 관여한다고 알려졌다. 이러한 지질 구성의 변화는 결국 또다시 다른 국소 부위 세균 증식을 가속화할 수 있다.
국소 부위 세균이 MGD와 연관이 있다는 또 다른 근거는 점안 혹은 전신 항생제가 종종 MGD에 효과적이라는 점이다. 테트라사이클린은 표피 포도알균, 황색포도알균, ''propionibacterium acne''의 지방 분해 효소 생성을 감소시킨다<ref>Dougherty JM et al. The role of tetracycline in chronic blepharitis. Inhibition of lipase production in staphylococci. ''IOVS''. 1991 Oct;32(11):2970-5. [https://pubmed.ncbi.nlm.nih.gov/1917401/ 연결]</ref>. 쥐에서는 혈청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호중구에 대한 화학 주성도 억제하며 아교질 분해 효소와 금속 분해 효소 (metalloproteinase) 활성을 억제한다. 이러한 치료적 기전들은 MGD와 주사 환자에서 효과를 발휘한다.
''Pityrosporum''<ref>Parunovic A et al. Pityrosporum orbiculare. Its possible role in seborrheic blepharitis. ''AJO''. 1967 Apr;63(4):815-20. [https://pubmed.ncbi.nlm.nih.gov/4225663/ 연결]</ref>과 모낭 진드기<ref>Norn MS. Demodex folliculorum. Incidence and possible pathogenic role in the human eyelid. ''Acta Ophthalmol Suppl''. 1970;108:7-85. [https://pubmed.ncbi.nlm.nih.gov/4322592/ 연결]</ref>와 같은 미생물도 눈꺼풀에서 자주 발견되는데 이들의 역할은 아직 불명확하다. 이러한 흔한 미생물들이 MGD에서 뒤눈꺼풀염을 유발한다거나 악화시킨다는 명확한 근거들은 없지만 유증상의 앞눈꺼풀염은 유발할 수도 있다.


== 위험 인자 ==
== 위험 인자 ==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