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봄샘 기능 장애: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058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8월 12일 (월)
잔글
31번째 줄: 31번째 줄:
== 진단 ==
== 진단 ==
== 중증도 구분 ==
== 중증도 구분 ==
MGD의 등급과 중증도를 판단하는 단일화된 구분법은 현재까지 존재하지 않지만, 진료실 내에서는 일반적으로 세극등 현미경 하에 관찰할 수 있는 MG 개구부의 압출능 (expressibility) 과 분비된 마이봄의 명도 및 점도에 근거한 마이붐의 질 평가를 기준으로 중증도를 판단할 수 있다. MG의 압출능은 눈꺼풀 테두리의 중심 부위를 손가락으로 압박했을 때 중심 5개의 마이봄샘 개구부 중 몇 개의 구멍에서 마이봄이 잘 분비되는지를 보고 등급화할 수 있다<ref>Pflugfelder SC et al. Evaluation of subjective assessments and objective diagnostic tests for diagnosing tear-film disorders known to cause ocular irritation. ''Cornea''. 1998 Jan;17(1):38-56. [https://pubmed.ncbi.nlm.nih.gov/9436879/ 연결]</ref>. 마이봄의 질적 평가는 압출되는 분비물의 투명도와 점도에 근거하는데, 투명한 정상 마이봄에서부터 누런색의 뿌연 분비물, 내부에 알갱이들이 보이는 분비물, 치약같이 짜지는 점도가 높은 분비물 순으로 중증도를 구분할 수 있다.76
MGD 국제 워크숍에서는 이러한 동적인 마이봄샘 평가법 이외에도 증상 정도, 각막염색 정도, 동반 안구표면 혹은 눈꺼풀 질환 여부를 함께 포함해 MGD의 중증도를 1~4기 및 'plus' 질환으로 구분해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다<ref>Geerling G et al. The international workshop on MGD : report of the subcommittee on management and treatment of MGD. ''IOVS''. 2011 Mar 30;52(4):2050-64. [https://pubmed.ncbi.nlm.nih.gov/21450919/ 연결]</ref>.
한편, 마이보그래피가 개발되면서 마이봄샘의 소실 정도를 직접 정량적으로 확인해 0에서 3등급으로 중증도를 구분하는 방법도 알려졌다<ref>Arita R et al. Noncontact IR meibography to document age-related changes of the MGs in a normal population. ''Ophthalmology''. 2008 May;115(5):911-5. [https://pubmed.ncbi.nlm.nih.gov/18452765/ 연결]</ref>.


== 합병증 ==
== 합병증 ==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