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합병증)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상공막염 (episcleritis)'''{{각막}} 은 눈의 바깥쪽 표면에 일어나는 | '''상공막염 (episcleritis)'''{{각막}} 은 눈의 바깥쪽 표면에 일어나는 비교적 경하고 자연 치유되는 질환이다. | ||
== 역학 == | == 역학 == | ||
아주 흔하지 않으며, 증상이 없으면 환자가 병원을 찾지 않는 경우가 많아 실제 발생률을 정확히 알기 어렵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매년 발생률은 약 0.022~0.041%,유병률은 0.53% 정도로 추정된다<ref>Homayounfar G et al. Incidence of scleritis and episcleritis : results from the Pacific Ocular Inflammation Study. ''AJO''. 2013 Oct;156(4):752-8. [https://pubmed.ncbi.nlm.nih.gov/23891336/ 연결]</ref><ref>Honik G et al. Incidence and prevalence of episcleritis and scleritis in Northern California. ''Cornea''. 2013 Dec;32(12):1562-6. [https://pubmed.ncbi.nlm.nih.gov/24145628/ 연결]</ref>. | |||
== 원인 == | == 원인 == | ||
성인의 경우 대부분 특발성이나, 26~36% 정도는 전신 질환과 연관되어 있다. 5~14%는 아교질 혈관 질환이나 혈관염과 연관 있으며, 그 중 류마티스 관절염이 가장 흔하다. 실제로 [[베게너 육아종증]]이나 [[코간 증후군]] 등의 많은 질환에서 혈관 상태에 대한 징후로 나타난다. | 성인의 경우 대부분 특발성이나, 26~36% 정도는 전신 질환과 연관되어 있다<ref>Watson PG et al. Scleritis and episcleritis. ''BJO''. 1976 Mar;60(3):163-91. [https://pubmed.ncbi.nlm.nih.gov/1268179/ 연결]</ref>. 5~14%는 아교질 혈관 질환이나 혈관염과 연관 있으며, 그 중 류마티스 관절염이 가장 흔하다. 실제로 [[베게너 육아종증]]이나 [[코간 증후군]] 등의 많은 질환에서 혈관 상태에 대한 징후로 나타난다. | ||
Alpek 등은 환자의 51%에서 안구 주사 (rosacea), 건성 각결막염, 아토피 각결막염 등의 안질환이 동반되었다고 보고하였.5 환자의 1~4%가 염증 장질환, 특히 크론병과 연관되었고, 아토피 환자의 1~12%가 상공막염과,3-5 환자의 2~7%가 안구 대상포진과 연관되었다고 보고되었다3,4. 공막에 안내 인공수정체를 고정하는 봉합을 한 경우에 상공막염이 발생한 예도 있다.6 | |||
5~16세 환아의 상공막염은 진단 당시 67%가 전신 질환과 관련되었다.7 통풍은 상공막염과 관련성이 큰데 상공막염 환자의 11%에서 소변 요산수치가 올라가고 7%가 임상적으로 통풍을 가지고 있다.3 결핵이나 한센 | |||
병,라임병,브루셀라병,볼거리,가시아메바,톡소플라스마,치쿤구니야 바이러스ChzTam꿍virus 등의 감염 질환과도 연관이 있으며,매독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3, 4’8一14 Topiramate, pamidronate disodium, erlotinib, risedronate 등의 약제 부작용으로도 나타날 수 있으며,15-18 스트레스와 호르몬 변화도 악화 요인으로 언급되나 아직 입증되지 못하였다. | |||
== 분류 == | == 분류 == | ||
* | * 단순형 : 결절 없이 상공막에 혈관의 울혈만 존재한다. | ||
* | * 결절형 : 경계가 뚜렷하고, 염증이 있는 부위가 융기되어 있다. | ||
== 임상 양상 == | == 임상 양상 == | ||
* 단순형 : 갑자기 발생하며, 환자가 통증이 시작된 시간을 대부분 정확히 기억한다. | * 단순형 : 갑자기 발생하며, 환자가 통증이 시작된 시간을 대부분 정확히 기억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