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공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70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8월 14일 (수)
잔글
17번째 줄: 17번째 줄:
* 결절형 : 더 서서히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증상이 없어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으며, 통증이 동반되는 경우 대개 이물감 같은 경한 불편을 느끼는 정도이다. 매우 드물게 심한 통증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 경우는 공막염이 아닌지 의심해봐야 한다. 눈부심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으며, 염증이 있는 부위에 국한된 압통이 동반되기도 한다.
* 결절형 : 더 서서히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증상이 없어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으며, 통증이 동반되는 경우 대개 이물감 같은 경한 불편을 느끼는 정도이다. 매우 드물게 심한 통증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 경우는 공막염이 아닌지 의심해봐야 한다. 눈부심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으며, 염증이 있는 부위에 국한된 압통이 동반되기도 한다.


대개 시력에는 영향이 없으며 심한 경우 결막이나 꺼풀 부종을 동반한다<ref>Watson PG. Diseases of the sclera and episclera In. Tasman W, Jaeger EA, ed. Duane's Chnical Ophthalmology, rev edn. Philadelphia : Lippincott; 1992.</ref><ref>Lyne AJ et al. Episcleritis and scleritis. a/w connective tissue disease. ''Arch Ophthalmol''. 1968 Aug;80(2):171-6. [https://pubmed.ncbi.nlm.nih.gov/5661881/ 연결]</ref><ref>Watson PG, Hazleman BL. The Sclera and Systemic disorders. Philadelphia : Saunders; 1976</ref>. 안구결막의 충혈은 붉은색을 띠며, 자연광으로 관찰 시 푸른 빛이 도는 공막염과 구별할 수 있다. 상공막염의 충혈은 전형적으로 눈꺼풀 틈새 사이에 발생한다.19-22 방사상으로 진행되는 상공막 모세혈관망의 혈관은 중혈되어 있지만 정상 형태를 유지한다.  만약 정상 혈한 관구조가 변형된 경우 공막을 침범한 염증이 있음을 의미한다.
대개 시력에는 영향이 없으며 심한 경우 결막이나 꺼풀 부종을 동반한다<ref name=r19>Watson PG. Diseases of the sclera and episclera In. Tasman W, Jaeger EA, ed. Duane's Chnical Ophthalmology, rev edn. Philadelphia : Lippincott; 1992.</ref><ref name=r20>Lyne AJ et al. Episcleritis and scleritis. a/w connective tissue disease. ''Arch Ophthalmol''. 1968 Aug;80(2):171-6. [https://pubmed.ncbi.nlm.nih.gov/5661881/ 연결]</ref><ref name=r21>Watson PG, Hazleman BL. The Sclera and Systemic disorders. Philadelphia : Saunders; 1976</ref>. 안구결막의 충혈은 붉은색을 띠며, 자연광으로 관찰 시 푸른 빛이 도는 공막염과 구별할 수 있다. 상공막염의 충혈은 전형적으로 눈꺼풀 틈새 사이에 발생한다<ref name=r19 /><ref name=r20 /><ref name=r21 />.  방사상으로 진행되는 상공막 모세혈관망의 혈관은 중혈되어 있지만 정상 형태를 유지한다.  만약 정상 혈한 관구조가 변형된 경우 공막을 침범한 염증이 있음을 의미한다.


== 진단 ==
== 진단 ==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