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성분) |
잔글 (→성분)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마이봄샘 기능 장애]] (MGD) 환자에서는 MG 분비물의 구성 성분들이 정상 대조군 대비 유의한 차이를 보인다<ref>Shine WE et al. Role of wax ester fatty alcohols in chronic blepharitis. ''IOVS''. 1993 Dec;34(13):3515-21. [https://pubmed.ncbi.nlm.nih.gov/8258508/ 연결]</ref><ref>Dougherty JM et al. Analysis of the free fatty acid component of meibomian secretions in chronic blepharitis. ''IOVS''. 1986 Jan;27(1):52-6. [https://pubmed.ncbi.nlm.nih.gov/3941038/ 연결]</ref>.96-97 콜레스테롤 에스터 (cholesterol ester) 는 MGD 환자에서 항상 존재하는 반면 정상인의 MG 분비물에는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다<ref>Shine WE et al. The role of cholesterol in chronic blepharitis. ''IOVS''. 1991 Jul;32(8):2272-80. [https://pubmed.ncbi.nlm.nih.gov/2071340/ 연결]</ref>. 마이봄샘 분비물에 콜레스테롤 에스터가 있는 정상인에서는 콜레스테롤 에스터가 없는 정상인 대비 혈장 응고효소 음성 (coagulase negative) 포도알균과 황색 포도알균이 2배 많으며 이들은 콜레스테롤 에스터 지방분해효소 활성을 가지고 있다. 콜레스테롤의 존재는 황색 포도알균의 증식을 조장한다<ref>Shine WE et al. Relation of cholesterol-stimulated Staphylococcus aureus growth to chronic blepharitis. ''IOVS''. 1993 Jun;34(7):2291-6. [https://pubmed.ncbi.nlm.nih.gov/8505210/ 연결]</ref>. | [[마이봄샘 기능 장애]] (MGD) 환자에서는 MG 분비물의 구성 성분들이 정상 대조군 대비 유의한 차이를 보인다<ref>Shine WE et al. Role of wax ester fatty alcohols in chronic blepharitis. ''IOVS''. 1993 Dec;34(13):3515-21. [https://pubmed.ncbi.nlm.nih.gov/8258508/ 연결]</ref><ref>Dougherty JM et al. Analysis of the free fatty acid component of meibomian secretions in chronic blepharitis. ''IOVS''. 1986 Jan;27(1):52-6. [https://pubmed.ncbi.nlm.nih.gov/3941038/ 연결]</ref>.96-97 콜레스테롤 에스터 (cholesterol ester) 는 MGD 환자에서 항상 존재하는 반면 정상인의 MG 분비물에는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다<ref>Shine WE et al. The role of cholesterol in chronic blepharitis. ''IOVS''. 1991 Jul;32(8):2272-80. [https://pubmed.ncbi.nlm.nih.gov/2071340/ 연결]</ref>. 마이봄샘 분비물에 콜레스테롤 에스터가 있는 정상인에서는 콜레스테롤 에스터가 없는 정상인 대비 혈장 응고효소 음성 (coagulase negative) 포도알균과 황색 포도알균이 2배 많으며 이들은 콜레스테롤 에스터 지방분해효소 활성을 가지고 있다. 콜레스테롤의 존재는 황색 포도알균의 증식을 조장한다<ref>Shine WE et al. Relation of cholesterol-stimulated Staphylococcus aureus growth to chronic blepharitis. ''IOVS''. 1993 Jun;34(7):2291-6. [https://pubmed.ncbi.nlm.nih.gov/8505210/ 연결]</ref>. | ||
하지만 정상인 간에서도 지질 조성의 상당한 차이들이 보인다는 여러 보고들이 있다<ref>Tiffany JM. Individual variations in human meibomian lipid composition. ''Exp Eye Res''. 1978 Sep;27(3):289-300. [https://pubmed.ncbi.nlm.nih.gov/710541/ 연결]</ref>. 분광 분석 연구에 따르면 정상인에서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마이봄의 녹는점이 조금씩 감소함에 반해 MGD 환자에서는 녹는점이 뚜렷하게 상승한다고 하였다<ref>Borchman D et al. Spectroscopic evaluation of human tear lipids. ''Chem Phys Lipids''. 2007 Jun;147(2):87-102. [https://pubmed.ncbi.nlm.nih.gov/17482588/ 연결]</ref>. 이러한 변화들이 MG 분비 지질의 점도를 결국 증가시키게 된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