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미생물의 역할) |
잔글 (→동물 모델) |
||
17번째 줄: | 17번째 줄: | ||
''Pityrosporum''<ref>Parunovic A et al. Pityrosporum orbiculare. Its possible role in seborrheic blepharitis. ''AJO''. 1967 Apr;63(4):815-20. [https://pubmed.ncbi.nlm.nih.gov/4225663/ 연결]</ref>과 모낭 진드기<ref>Norn MS. Demodex folliculorum. Incidence and possible pathogenic role in the human eyelid. ''Acta Ophthalmol Suppl''. 1970;108:7-85. [https://pubmed.ncbi.nlm.nih.gov/4322592/ 연결]</ref>와 같은 미생물도 눈꺼풀에서 자주 발견되는데 이들의 역할은 아직 불명확하다. 이러한 흔한 미생물들이 MGD에서 뒤눈꺼풀염을 유발한다거나 악화시킨다는 명확한 근거들은 없지만 유증상의 앞눈꺼풀염은 유발할 수도 있다. | ''Pityrosporum''<ref>Parunovic A et al. Pityrosporum orbiculare. Its possible role in seborrheic blepharitis. ''AJO''. 1967 Apr;63(4):815-20. [https://pubmed.ncbi.nlm.nih.gov/4225663/ 연결]</ref>과 모낭 진드기<ref>Norn MS. Demodex folliculorum. Incidence and possible pathogenic role in the human eyelid. ''Acta Ophthalmol Suppl''. 1970;108:7-85. [https://pubmed.ncbi.nlm.nih.gov/4322592/ 연결]</ref>와 같은 미생물도 눈꺼풀에서 자주 발견되는데 이들의 역할은 아직 불명확하다. 이러한 흔한 미생물들이 MGD에서 뒤눈꺼풀염을 유발한다거나 악화시킨다는 명확한 근거들은 없지만 유증상의 앞눈꺼풀염은 유발할 수도 있다. | ||
=== 동물 모델 === | === 동물 모델 === | ||
폴리염화 바이페닐 (polychlorinated biphenyl) 의 전신 독성은 MG 관의 과각질화를 유발하고 MGD의 치약 같은 분비물을 만들어낸다.89 토끼 눈꺼풀에 에피네프린을 국소 투여했을 때 MGD가 생긴다는 보고가 있다.90 이 모델에서는 MG 세관 상피의 과각질화, 샘과리의 소실, 미세낭포 형성과 함께 MG 개구부의 막힘이 발생한다. 토끼에서 MG 개구부를 소작해 폐쇄하면 술잔세포의 수적 감소와 더불어 눈물막 삼투압이 증가한다.52 아이소트레티노인 (isotretinoin) 을 전신 투여하면 마이봄샘이 위축되고 저분비가 초래되며 분비물의 점도가 올라가고 눈물 삼투압도 증가한다.91 이러한 효과는 약물 중단 시 가역적이다. 연령 관련 MGD의 마우스 모델은 마이봄 세포의 위축이 마이봄샘의 저분비를 초래하는 것을 가장 잘 보여준다.92 이러한 MGD의 다양한 동물 모델들은 폐쇄성 MG 질환의 핵심 원인이 MG 개구부의 과각질화이며 마이봄 세포의 노화 역시 일부 기여한다는 점을 잘보여준다.93 | |||
== 위험 인자 == | == 위험 인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