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활차신경 (trochlear nerve; 4번 뇌신경)'''{{신경안과}} | '''활차신경 (trochlear nerve; 4번 뇌신경)'''{{신경안과}}{{사시}} | ||
== 핵 == | == 핵 == | ||
중뇌의 등쪽에 위치하며 | 중뇌의 등쪽에 위치하며 아래둔덕 높이의 수도관주위 회백질 앞부분에 쌍으로 존재한다. | ||
활차신경은 뇌간의 뒤로 나가는 유일한 뇌신경이며 보호되지 않는 상태로 가장 길게 두개 내에서 주행하는 신경이다. 따라서, [[활차신경 마비]]는 머리 외상으로 인한 마비 사시 중 가장 흔히 발생한다. | |||
== 신경 다발 == | |||
신경 다발은 등쪽 뇌간을 떠나기 전에 앞수질 덮개에서 교차하여 각각 반대쪽으로 나가는 특이한 해부 구조를 가진다. 즉 오른쪽 신경핵은 왼눈 상사근을 지배하고, 왼쪽 신경핵은 오른눈 상사근을 지배한다. | |||
[[동안신경]]과 마찬가지로 거미막밑 공간으로 들어와 뒤대뇌동맥과 위소뇌동맥 사이를 지나가지만 동안신경보다 좀 더 바깥쪽으로 지나기 때문에 뒤교통동맥의 동맥류에 의한 압박에 대하여 동안신경보다 영향을 덜 받는다. 이곳에서부터 [[동안신경]]의 주행과 비슷한 경로를 거쳐 해면정맥굴로 들어와 [[동안신경]]의 아래로 해면정맥굴의 가쪽 벽에 붙어서 앞쪽으로 진행한다. 해면정맥굴을 지나면서 동안신경의 위쪽으로 올라오게 된다. 상안와열을 통하여 안와로 들어와서 Zinn 공통 힘줄 고리 (annulus of Zinn) 의 바깥쪽으로 시신경을 가로질러 상직근 위를 지나 상사근에 분포한다. | [[동안신경]]과 마찬가지로 거미막밑 공간으로 들어와 뒤대뇌동맥과 위소뇌동맥 사이를 지나가지만 동안신경보다 좀 더 바깥쪽으로 지나기 때문에 뒤교통동맥의 동맥류에 의한 압박에 대하여 동안신경보다 영향을 덜 받는다. 이곳에서부터 [[동안신경]]의 주행과 비슷한 경로를 거쳐 해면정맥굴로 들어와 [[동안신경]]의 아래로 해면정맥굴의 가쪽 벽에 붙어서 앞쪽으로 진행한다. 해면정맥굴을 지나면서 동안신경의 위쪽으로 올라오게 된다. 상안와열을 통하여 안와로 들어와서 Zinn 공통 힘줄 고리 (annulus of Zinn) 의 바깥쪽으로 시신경을 가로질러 상직근 위를 지나 상사근에 분포한다. | ||
{{참고}} | {{참고}} | ||
[[분류:신경안과]] | [[분류:신경안과]] | ||
{{뇌신경}} | {{뇌신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