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방법) |
잔글 (→효과) |
||
28번째 줄: | 28번째 줄: | ||
== 효과 == | == 효과 == | ||
약물 치료에 반응이 없던 [[급성 폐쇄각 녹내장]] 환자에서 시술 전 평균 안압이 54.9mmHg 였으나 아르곤 레이저 주변홍채 성형술을 시행한 후 2~4시간 뒤 평균 안압이 18.9mmHg로 감소하였다고 보고된 연구도 있었다. 반면에 주변 홍채앞 유착과 전방각 폐쇄가 함께 있는 [[만성 폐쇄각 녹내장]] 11안에서는 아르곤 레이저 주변홍채 성형술을 시행 후 6개월 뒤 7안은 안압이 잘 조절되었지만 4안에서는 [[섬유주 절제술]]이 필요하다고 보고하였다.<br />레이저 홍채 절개술의 효과가 적은 [[고원 홍채]]에서는 시술 후 79개월간 경과 관찰하였을 때 87%에서 전방각이 열렸다는 보고가 있었으며 수정체에 의한 유발된 전방각 폐쇄에서도 효과적이라고 보고되었다. | 대부분의 연구에 의하면 [[급성 폐쇄각 녹내장]] 환자에서 시행한 아르곤 LPI는 성공률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약물 치료에 반응이 없던 [[급성 폐쇄각 녹내장]] 환자에서 시술 전 평균 안압이 54.9mmHg 였으나 아르곤 레이저 주변홍채 성형술을 시행한 후 2~4시간 뒤 평균 안압이 18.9mmHg로 감소하였다고 보고된 연구도 있었다. 반면에 주변 홍채앞 유착과 전방각 폐쇄가 함께 있는 [[만성 폐쇄각 녹내장]] 11안에서는 아르곤 레이저 주변홍채 성형술을 시행 후 6개월 뒤 7안은 안압이 잘 조절되었지만 4안에서는 [[섬유주 절제술]]이 필요하다고 보고하였다.<br />레이저 홍채 절개술의 효과가 적은 [[고원 홍채]]에서는 시술 후 79개월간 경과 관찰하였을 때 87%에서 전방각이 열렸다는 보고가 있었으며 수정체에 의한 유발된 전방각 폐쇄에서도 효과적이라고 보고되었다. | ||
== 합병증 == | == 합병증 == | ||
* 홍채염 : 염증 반응은 일시적이며 스테로이드제를 점안하면 대부분 치료된다. 그러나 때로는 심한 염증과 전방 축농이 동반될 수도 있으며 염증에 의한 광응고반 부위에 국소적으로 주변 홍채앞 유착이 발생할 수도 있다. | * 홍채염 : 염증 반응은 일시적이며 스테로이드제를 점안하면 대부분 치료된다. 그러나 때로는 심한 염증과 전방 축농이 동반될 수도 있으며 염증에 의한 광응고반 부위에 국소적으로 주변 홍채앞 유착이 발생할 수도 있다. | ||
* 일시적인 안압 상승 : 특히 홍채앞 유착이 있었던 눈에서 많이 발생한다. 적절한 레이저 시술을 하고 시술 전후에 [[아프라클로니딘|apraclonidine]] 또는 [[브리모니딘|brimonidine]]을 점안하면 안압 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다. | * 일시적인 안압 상승 : 특히 홍채앞 유착이 있었던 눈에서 많이 발생한다. 적절한 레이저 시술을 하고 시술 전후에 [[아프라클로니딘|apraclonidine]] 또는 [[브리모니딘|brimonidine]]을 점안하면 안압 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다. | ||
{{참고|녹내장}} | {{참고|녹내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