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종류) |
잔글 (→종류)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 Phakic Refractive lens (PRL, CIBA) 등으로 발전하였다. | * Phakic Refractive lens (PRL, CIBA) 등으로 발전하였다. | ||
== 종류 == | == 종류 == | ||
* Visian® ICL (V4c) : HEMA-collagen copolymer 재질로 된 일체형 접이식 렌즈로 3개의 방수 통과 구멍이 중심과 양쪽 주변부에 있고 렌즈 지지부가 모양체 돌기에 위치한다. | |||
* ECHO 렌즈 : 혼성 친수 아크릴 재질로 되어 있으며 7개의 방수 통과 구멍이 있고 지지부가 모양체 돌기에 위치한다. | |||
{{외부사진 | {{외부사진 | ||
|https://www.wjm.co.kr/images/temp/thumb_prod_detail_01.jpg | |https://www.wjm.co.kr/images/temp/thumb_prod_detail_01.jpg | ||
|EVO+ Aqua ICL | |EVO+ Aqua ICL | ||
}} | }} | ||
두 종류의 렌즈 모두 좋은 수술 후 굴절값과 시력이 예측에 맞게 잘 나오며, 안전하고 효과적이다. Zaldivar 등<ref>Zaldivar R et al. Posterior chamber phakic IOL for myopia of -8 to -19 diopters. ''JRS''. 1998 May-Jun;14(3):294-305. [https://pubmed.ncbi.nlm.nih.gov/9641420/ 연결]</ref>의 보고에 따르면 ICL은 뛰어난 굴절 교정 효과와 시력 호전이 있었으며, 수술이 필요한 백내장 발생은 1% 미만이었다161. 또한 중등도~고도 근시 환자에서 안전성, 예측도가 좋았고 효과적이었으며<ref name=r5>Sanders DR. Matched population comparison of the Visian ICL and standard LASIK for myopia of -3.0 to -7.88 D. ''JRS''. 2007 Jun;23(6):537-53. [https://pubmed.ncbi.nlm.nih.gov/17598571/ 연결]</ref>, 고도 근시에서는 수술 후 시간이 경과해도 라식보다 굴절값이 안정적이었다<ref>Chen X et al. Contralateral eye comparison of the long-term visual quality and stability btw ICL and laser refractive surgery for myopia. ''Acta Ophthalmol''. 2019 May;97(3):e471-e478. [https://pubmed.ncbi.nlm.nih.gov/30187653/ 연결]</ref>. 국내에서도 ICL에 대한 좋은 결과가 보고되었으며<ref>한상엽 등, 고도 근시 환자에서 안내 후방 콘택트렌즈 삽입술의 중장기간 임상 결과, ''JKOS'' 2007;48(4):465-472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7085 연결]</ref><ref name=r3>윤재문 등, 난시 교정용 후방 유수정체 안내렌즈 삽입술의 단기간 임상 성적, ''JKOS'' 2009;50(6):839-851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7466 연결]</ref>, 중장기 추적 관찰한 국내 연구 결과에서도 효과적이라 보고되었다<ref>최재환 등. 10y clinical outcomes after implantation of a PC pIOL for myopia. ''JCRS''. 2019 Nov;45(11):1555-1561. [https://pubmed.ncbi.nlm.nih.gov/31587936/ 연결]</ref><ref>김부기 등, 후방 유수정체 안내 렌즈 삽입술의 장기간 임상 성적, ''한안지'' 2021;62(8):1043-1052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13469 연결]</ref>. | |||
두 종류의 렌즈 모두 좋은 수술 후 굴절값과 시력이 예측에 맞게 잘 나오며, 안전하고 효과적이다. Zaldivar 등<ref>Zaldivar R et al. Posterior chamber phakic IOL for myopia of -8 to -19 diopters. ''JRS''. 1998 May-Jun;14(3):294-305. [https://pubmed.ncbi.nlm.nih.gov/9641420/ 연결]</ref>의 보고에 따르면 ICL은 뛰어난 굴절 교정 효과와 시력 호전이 있었으며, 수술이 필요한 백내장 발생은 1% 미만이었다161. 또한 중등도~고도 근시 환자에서 안전성, 예측도가 좋았고 효과적이었으며<ref name=r5>Sanders DR. Matched population comparison of the Visian ICL and standard LASIK for myopia of -3.0 to -7.88 D. ''JRS''. 2007 Jun;23(6):537-53. [https://pubmed.ncbi.nlm.nih.gov/17598571/ 연결]</ref>, 고도 근시에서는 수술 후 시간이 경과해도 라식보다 굴절값이 안정적이었다<ref>Chen X et al. Contralateral eye comparison of the long-term visual quality and stability btw ICL and laser refractive surgery for myopia. ''Acta Ophthalmol''. 2019 May;97(3):e471-e478. [https://pubmed.ncbi.nlm.nih.gov/30187653/ 연결]</ref>. 국내에서도 ICL에 대한 좋은 결과가 보고되었으며<ref>한상엽 등, 고도 근시 환자에서 안내 후방 콘택트렌즈 삽입술의 중장기간 임상 결과, ''JKOS'' 2007;48(4):465-472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7085 연결]</ref>, 중장기 추적 관찰한 국내 연구 결과에서도 효과적이라 보고되었다. | |||
== 수술 방법 == | == 수술 방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