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새 문서: 급성 폐쇄각 녹내장 (acute angle-closure glaucoma; AACG) == 증상 == 급성 발작시 눈이 빨갛게 충혈되며, 침침하고, 심한 안통을 호소하면서 불을 볼...)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 안압 : 급속히 상승하여 60~70mmHg까지도 오르게 되며, 안압이 50~60mmHg 정도가 되면 각막 내로 수분이 들어가서 각막 상피세포의 부종이 생기기 시작하여 각막 전체에 부종이 올 수 있고 침침해지면서 달무리가 생긴다. | * 안압 : 급속히 상승하여 60~70mmHg까지도 오르게 되며, 안압이 50~60mmHg 정도가 되면 각막 내로 수분이 들어가서 각막 상피세포의 부종이 생기기 시작하여 각막 전체에 부종이 올 수 있고 침침해지면서 달무리가 생긴다. | ||
* 안통 : 안구에 국한되기도 하며 삼차 신경의 분포를 따라서 뻗치기도 한다. 동공은 동공 조임근 마비로 인해 불규칙하게 중등도로 확대된 채로 고정되어 있다. | * 안통 : 안구에 국한되기도 하며 삼차 신경의 분포를 따라서 뻗치기도 한다. 동공은 동공 조임근 마비로 인해 불규칙하게 중등도로 확대된 채로 고정되어 있다. | ||
* 전방 : 전방은 얕고, 방수 흐림과 세포가 | * 전방 : 전방은 얕고, 방수 흐림과 세포가 발견되기도 한다. 전방각은 전체가 폐쇄되어 있고 주변 홍채앞 유착이 있을수 있다. | ||
* 시신경 유두 : 발작 초기 에는 충혈되고 부었다가 나중에는 창백하게 된다. | |||
전에 폐쇄각 녹내장의 발작이 있었던 사실을 보여주는 징후로서, 홍채의 부분 위축(sectoral iris atrophy)과 수정체 앞부분에 불규칙한 백색 혼탁인 녹내장수정체 혼탁(glaukomflecken) 및 수정체 표면, 각막 후면과 전방각 등에 색소 분산을 관찰할 수 있다. | |||
== 감별 진단 == | == 감별 진단 == | ||
- [[수정체 용해 녹내장]] : 전방각은 개방되고 있고, 전방에 흐림과 세포가 있다. | - [[수정체 용해 녹내장]] : 전방각은 개방되고 있고, 전방에 흐림과 세포가 있다. | ||
* 염증성 녹내장 : 폐쇄각 녹내장에 없는 각막 후면 침착물이 있고, 전방각이 개방되어 있다. | * 염증성 녹내장 : 폐쇄각 녹내장에 없는 각막 후면 침착물이 있고, 전방각이 개방되어 있다. | ||
* [[빈세포 녹내장]] : 유리체 출혈 및 전방 유리체면 외상의 과거력이 있다. | * [[빈세포 녹내장]] : 유리체 출혈 및 전방 유리체면 외상의 과거력이 있다. | ||
* [[신생혈관 녹내장]] : 때로는 전방각 폐쇄를 보이나 포도막 겉말림, 동공 확대, [[홍채 혈관신생]]이 있고, 당뇨병이나 [[망막 중심 | * [[신생혈관 녹내장]] : 때로는 전방각 폐쇄를 보이나 포도막 겉말림, 동공 확대, [[홍채 혈관신생]]이 있고, 당뇨병이나 [[망막 중심 정맥 폐쇄]]의 과거력이 있을 수 있다. | ||
* 수정체의 전방 이동 : 외상성 수정체 부분 이탈, [[맥락막 흑색종]], Marfan 증후군과 Marchesani 증후군의 수정체 이탈 등으로 인해 수정체가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 |||
* 홍채 볼록 폐쇄각 녹내장 (iris bombe angle-closure glaucoma) : 포도막염의 후유증으로 홍채 볼록을 동반하면서 급성 안압 상승을 동반한다. | |||
== 비수술적 치료 == | == 비수술적 치료 == | ||
* [[필로카르핀]] : 제일 먼저 시도해야 할 약물로, 1~2% 용액 한 방울씩을 5~10분 간격으로 3회 정도 투여하고 그 후 하루 4회 점안 간격으로 바꾼다. 경한 발작 시에는 필로카르핀만으로 발작을 회복시킬 수 있다. 그러나 필로카르핀을 너무 자주 점안하는 것은 중독 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한다. | * [[필로카르핀]] : 제일 먼저 시도해야 할 약물로, 1~2% 용액 한 방울씩을 5~10분 간격으로 3회 정도 투여하고 그 후 하루 4회 점안 간격으로 바꾼다. 경한 발작 시에는 필로카르핀만으로 발작을 회복시킬 수 있다. 그러나 필로카르핀을 너무 자주 점안하는 것은 중독 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