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9
번
잔글 (→수술적 치료) |
잔글 (→원인)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 원인 == | == 원인 == | ||
여러 안내 질환에 동반되어 발생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다른 전신 질환이나 안질환과 연관 없이 특발성으로 발생한다. | 여러 안내 질환에 동반되어 발생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다른 전신 질환이나 안질환과 연관 없이 특발성으로 발생한다. | ||
== 분류 == | |||
=== 특발성 (idiopathic) === | |||
특별한 원인이 되는 안질환이나 병변이 발견되지 않는 경우로, [[후유리체 박리]]와 관련하여 유리체-망막 경계면의 이상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유리체-황반 견인 증후군]]과 [[황반 원공]] 등과 공통점이 있으며, 이 질환들을 묶어 유리체-망막 경계면 질환 (vitreo-retinal interface disorder) 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 |||
=== 속발성 === | |||
* 망막 혈관 질환 : 망막 정맥 폐쇄, [[당뇨 망막병증]], [[고혈압 망막병증]], 혈관 확장증, 세동맥류, 겸상 적혈구 망막병증 등 | |||
* 안내 염증 : 뒤포도막염, 중간 포도막염, [[눈 톡소플라즈마증]], [[사르코이드증]] 등 | |||
* 망막 열공 : [[황반 원공]], 망막 찢김, 열공 망막박리 등 | |||
* 안내 종양 : 망막 혈관종, 망막 과오종 등 | |||
* 외상 : 안구 둔상 및 천공상 | |||
* 기타 : 망막 색소변성, 망막 변성 등 | |||
* 수술 : 망막 박리, 망막 광응고, 냉동 망막 유착술, [[실리콘 기름]] 주입 등 | |||
== 위험 인자 == | == 위험 인자 == | ||
고령, 여성, 당뇨, 비만, 근시, 백내장 수술, 망막 열공, 반대안의 망막앞막 등이 알려져 있다<ref>Meuer SM et al. The epidemiology of vitreoretinal interface abnormalities as detected by SD-OCT : the beaver dam eye study. Ophthalmology. 2015 Apr;122(4):787-95. [https://pubmed.ncbi.nlm.nih.gov/25556116/ 연결]</ref>. | 고령, 여성, 당뇨, 비만, 근시, 백내장 수술, 망막 열공, 반대안의 망막앞막 등이 알려져 있다<ref>Meuer SM et al. The epidemiology of vitreoretinal interface abnormalities as detected by SD-OCT : the beaver dam eye study. Ophthalmology. 2015 Apr;122(4):787-95. [https://pubmed.ncbi.nlm.nih.gov/25556116/ 연결]</re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