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9
번
잔글 (→분류) |
잔글 (→원인)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 역학 == | == 역학 == | ||
민족간에 유병률의 차이가 보고되고 있으며, <span style='color:blue;'>50세 이상에서 흔하고</span> 연령 증가에 따라 빈도가 증가하나 소아나 젊은이에서 가끔 발생하며 유병률은 7~11.8%이다. 40세 이상에서 2.2~12.1%로 보고되어 있으며, 국내에서는 2.18~2.9% 로 알려져 있다<ref> Kim SH et al. The incidence and risk factors of ERM in a screened Korean population. JKOS 2018;59:922-9.</ref>. 성별에서는 유의한 차이는 없다고 하나 여성에서 더 흔하다는 보고가 많고, 19.5~31%에서 양안성으로 관찰되나 비대칭적이며, 한쪽 눈에 있으면 5년 내에 반대안에 13.5%에서 발생한다. 임상적으로 유의한 망막앞막의 90%에서 [[후유리체 박리]]가 동반된다. 후유리체 박리가 없는 망막앞막은 [[유리체-황반 견인 증후군]]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 민족간에 유병률의 차이가 보고되고 있으며, <span style='color:blue;'>50세 이상에서 흔하고</span> 연령 증가에 따라 빈도가 증가하나 소아나 젊은이에서 가끔 발생하며 유병률은 7~11.8%이다. 40세 이상에서 2.2~12.1%로 보고되어 있으며, 국내에서는 2.18~2.9% 로 알려져 있다<ref> Kim SH et al. The incidence and risk factors of ERM in a screened Korean population. JKOS 2018;59:922-9.</ref>. 성별에서는 유의한 차이는 없다고 하나 여성에서 더 흔하다는 보고가 많고, 19.5~31%에서 양안성으로 관찰되나 비대칭적이며, 한쪽 눈에 있으면 5년 내에 반대안에 13.5%에서 발생한다. 임상적으로 유의한 망막앞막의 90%에서 [[후유리체 박리]]가 동반된다. 후유리체 박리가 없는 망막앞막은 [[유리체-황반 견인 증후군]]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 ||
== 원인, 분류 == | == 원인, 분류 == | ||
=== 특발성 (idiopathic) === | === 특발성 (idiopathic)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