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앞막: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006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10월 21일 (월)
잔글
잔글 (→‎원인)
14번째 줄: 14번째 줄:
* 수술 : 망막 박리, 망막 광응고, 냉동 망막 유착술, [[실리콘 기름]] 주입 등
* 수술 : 망막 박리, 망막 광응고, 냉동 망막 유착술, [[실리콘 기름]] 주입 등
== 기전, 병리 ==
== 기전, 병리 ==
아직 ERM의 형성이 어떻게 시작하는가에 대한 것은 명확히 규명되어 있지 않으나, 망막 손상이나 질환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반응성 신경아교증 (reactive gliosis) 임을 뒷받침하는 증거들이 있다. ERM은 섬유세포성 무혈관 막으로 망막 및 망막외에서 기원한 세포들과 교원질, 라미닌 등의 세포외기질로 구성되어 있다. 신경아교세포 (gliocyte), RPE, 섬유세포 (fibrocyte), 유리체세포 (hyalocyte) 외에도 여러 염증 세포가 망막앞막의 생성에 관여한다<ref>Bringmann A et al. Involvement of Müller glial cells in ERM formation.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09 Jul;247(7):865-83. [https://pubmed.ncbi.nlm.nih.gov/19415318/ 연결]</ref><ref>Lesnik Oberstein SY et al. Evidence that neurites in human ERM express melanopsin, calretinin, rod opsin and neurofilament protein. ''BJO''. 2011 Feb;95(2):266-72. [https://pubmed.ncbi.nlm.nih.gov/20971788/ 연결]</ref>.
세포 성분과 세포외 성분의 조성은 ERM의 발생 원인이 되는 동반된 안질환과 심한 정도 및 기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로서 RD에 관련된 ERM은 RPE 기원의 세포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여 색소가 많은 형태를 띠는 것에 비하여 망막 허혈에 속발한 ERM은 혈관기원의 세포가 풍부하다<ref>Oberstein SY et al. Cell proliferation in human ERM : characterization of cell types and correlation w disease condition and duration. ''Mol Vis''. 2011;17:1794-805. [https://pubmed.ncbi.nlm.nih.gov/21750605/ 연결]</ref><ref>Morino I et al. Variation in ERM components w clinical duration of the proliferative tissue. ''BJO''. 1990 Jul;74(7):393-9. [https://pubmed.ncbi.nlm.nih.gov/2378854/ 연결]</ref>. 그러나 이 세포들은 ERM의 성숙 중에 다른 기능과 형태를 가진 세포들로 형태학적 변화가 일어날 수 있어서 ERM을 일으키는 세포들의 기원을 정확히 확인하기는 쉽지 않다.


== 위험 인자 ==
== 위험 인자 ==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