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앞막: 두 판 사이의 차이

758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10월 21일 (월)
잔글
24번째 줄: 24번째 줄:
ERM이 진행을 하게 되면 수축을 일으키는 요소들이 형성되며 섬유막에 수축성의 액틴과 근섬유모세포가 풍부하게 관찰된다. ERM이 수축을 함에 따라 아래 부착된 망막에 기계적인 변형을 일으키며, 심한 경우 망막의 혈관을 뒤틀어 [[혈액-망막 장벽]]을 파괴하여 체액의 축적을 유발할수도 있다.
ERM이 진행을 하게 되면 수축을 일으키는 요소들이 형성되며 섬유막에 수축성의 액틴과 근섬유모세포가 풍부하게 관찰된다. ERM이 수축을 함에 따라 아래 부착된 망막에 기계적인 변형을 일으키며, 심한 경우 망막의 혈관을 뒤틀어 [[혈액-망막 장벽]]을 파괴하여 체액의 축적을 유발할수도 있다.


ERM에서 시력 저하는 다양한 기전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시력 저하의 이론적 기전은 혼탁한 망막 앞막에 의한 가림 효과, 축삭 이동의 차단, 혈관의 뒤틀림으로 인한 장벽의 파괴와 혈액 순환 장애 그리고 시세포의 기계적 왜곡 등이 언급된다. 전기 생리학 검사에서 국소 ERG에서 b파의 저하나12 mfERG에서 P1 의 반응 도달 시간의 연장이 관찰되며,13 이는 ERM이 망막 내층에 부착하여 일차적으로 망막 내층에 먼저 영향을 주고 시세포를 포함한 망막 외층의 장애는 그 후에 나타나는 현상임을 의미한다. 이러한 병리의 진행은 [[빛간섭 단층 촬영|OCT]]을 이용한 연구 결과에 의해서도 지지되었다.1415 그러므로 OCT에서 시세포층 손상이 관찰되거나 형광 안저 조영술에서 RPE 층의 이상으로 창문 비침이 나타나는 경우는 질환이 많이 진행한 상태로 불량한 시력 예후를 의미한다.
ERM에서 시력 저하는 다양한 기전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시력 저하의 이론적 기전은 혼탁한 망막 앞막에 의한 가림 효과, 축삭 이동의 차단, 혈관의 뒤틀림으로 인한 장벽의 파괴와 혈액 순환 장애 그리고 시세포의 기계적 왜곡 등이 언급된다. 전기 생리학 검사에서 국소 ERG에서 b파의 저하나<ref>Niwa T et al. Function and morphology of macula before and after removal of idiopathic ERM. ''IOVS''. 2003 Apr;44(4):1652-6. [https://pubmed.ncbi.nlm.nih.gov/12657605/ 연결]</ref> mfERG에서 P1 의 반응 도달 시간의 연장이 관찰되며<ref>Kim JH et al. Structural and functional predictors of visual outcome of ERM surgery. ''AJO''. 2012 Jan;153(1):103-10.e1. [https://pubmed.ncbi.nlm.nih.gov/21937015/ 연결]</ref>, 이는 ERM이 망막 내층에 부착하여 일차적으로 망막 내층에 먼저 영향을 주고 시세포를 포함한 망막 외층의 장애는 그 후에 나타나는 현상임을 의미한다. 이러한 병리의 진행은 [[빛간섭 단층 촬영|OCT]]을 이용한 연구 결과에 의해서도 지지되었다<ref>Park SW et al. Analysis of the GCL and PRL using OCT after idiopathic ERM surgery.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15 Feb;253(2):207-14. [https://pubmed.ncbi.nlm.nih.gov/24947547/ 연결]</ref><ref>Suh MH et al. Associations btw macular findings by OCT and visual outcomes after ERM removal. ''AJO''. 2009 Mar;147(3):473-480.e3. [https://pubmed.ncbi.nlm.nih.gov/19054492/ 연결]</ref>. 그러므로 OCT에서 시세포층 손상이 관찰되거나 형광 안저 조영술에서 RPE 층의 이상으로 창문 비침이 나타나는 경우는 질환이 많이 진행한 상태로 불량한 시력 예후를 의미한다.


== 위험 인자 ==
== 위험 인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