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9
번
잔글 (→합병증) |
잔글 (→합병증) |
||
41번째 줄: | 41번째 줄: | ||
술 후 가장 흔한 합병증은 점진적인 핵경화 백내장의 진행으로 알려져 있다. 유리체 절제술 후 백내장이 진행하는 경우 혼탁이 심해지기 전에 근시화가 먼저 나타나므로 유의한 백내장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다 82,83 나이가 많을수록 경과 관찰 기간이 길수록 빈도가 증가하며, 2년 경과 관찰에 100%에서 발생하였다는 보고도 있다<ref>Do DV et al. Surgery for post-vitrectomy cataract.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3 Dec 19;12(12):CD006366. [https://pubmed.ncbi.nlm.nih.gov/24357418/ 연결]</ref>. 따라서 핵경화가 존재하거나 나이가 50대 이상이면 유리체 절제술과 함께 수정체 유화술 및 인공수정체 후방 삽입술의 동시 시행이 증가하는 추세이다<ref>Jackson TL et al. The Royal College of Ophthalmologists' National Ophthalmologist Database Study of V-R Surgery : Report 4, ERM. ''Retina''. 2015 Aug;35(8):1615-21. [https://pubmed.ncbi.nlm.nih.gov/25830695/ 연결]</ref>. 한편으로 백내장 수술을 함께 시행하는 경우 수술 후 새로운 망막내액이 발생할 위험이 높으며 이는 인공수정체안 황반 부종과 기전을 공유하는 것으로 보인다 46 | 술 후 가장 흔한 합병증은 점진적인 핵경화 백내장의 진행으로 알려져 있다. 유리체 절제술 후 백내장이 진행하는 경우 혼탁이 심해지기 전에 근시화가 먼저 나타나므로 유의한 백내장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다 82,83 나이가 많을수록 경과 관찰 기간이 길수록 빈도가 증가하며, 2년 경과 관찰에 100%에서 발생하였다는 보고도 있다<ref>Do DV et al. Surgery for post-vitrectomy cataract.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3 Dec 19;12(12):CD006366. [https://pubmed.ncbi.nlm.nih.gov/24357418/ 연결]</ref>. 따라서 핵경화가 존재하거나 나이가 50대 이상이면 유리체 절제술과 함께 수정체 유화술 및 인공수정체 후방 삽입술의 동시 시행이 증가하는 추세이다<ref>Jackson TL et al. The Royal College of Ophthalmologists' National Ophthalmologist Database Study of V-R Surgery : Report 4, ERM. ''Retina''. 2015 Aug;35(8):1615-21. [https://pubmed.ncbi.nlm.nih.gov/25830695/ 연결]</ref>. 한편으로 백내장 수술을 함께 시행하는 경우 수술 후 새로운 망막내액이 발생할 위험이 높으며 이는 인공수정체안 황반 부종과 기전을 공유하는 것으로 보인다 46 | ||
ERM 수술 중 망막 견인으로 인하여 주변부 망막 열공이 발생할 수 있다. 망막 견인의 2가지 주된 기전은 | |||
* 공막 창을 통한 기구의 출입 과정에서 유리체 기저부의 견인 : 미세 절개 유리체 수술의 도입으로 빈도가 매우 낮아졌다.86_87 | |||
* [[후유리체 박리|PVD]]의 유도 과정에서 발생하는 견인 | |||
이다. ERM 환자의 많은 수가 [[후유리체 박리|PVD]]가 일어나 있어 유리체 제거 도중 망막 열공의 발생 위험이 낮은 편이나, 후유리체가 부착된 채로 남아 있는 경우에는 유리체 박리를 만들고 확장하는 과정에 서 주변부 망막 열공을 초래할 수 있다 88 광각 시야 장치의 도입으로 주변부 열공 발생을 보다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게 되었으며, 주변부 시야가 좋지 않은 경우에는 수술을 종료하기 전에 공막을 압박하여 열공의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공이 확인되면 경공막 냉동 치료나 레이저 광음고술을 시행하며, 지속되는 열공 주위 견인력이 의심되거나 국소 망막박리가 동반된 경우는 열공 망막박리 수술에 준하여 액체-가스 교환술을 병행하여 치료한다. | |||
유리체 절제술 후 유의한 ERM의 재발은 원인에 따라 환자의 20%까지 나타나지만 시력 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주거나 재수술이 필요한 경우는 5% 정도로 드물다<ref>Sandali O et al. ERM recurrence : incidence, characteristics, evolution, and preventive and RFs. ''Retina''. 2013 Nov-Dec;33(10):2032-8. [https://pubmed.ncbi.nlm.nih.gov/23612050/ 연결]</ref>. 재발의 시기는 3~96개월까지 다양하나 평균적으로 20개월 정도에서 발생하였다. 내경계막을 함께 제거하는 것은 ERM의 재발을 유의하게 줄일 수 있다. 63,64 | 유리체 절제술 후 유의한 ERM의 재발은 원인에 따라 환자의 20%까지 나타나지만 시력 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주거나 재수술이 필요한 경우는 5% 정도로 드물다<ref>Sandali O et al. ERM recurrence : incidence, characteristics, evolution, and preventive and RFs. ''Retina''. 2013 Nov-Dec;33(10):2032-8. [https://pubmed.ncbi.nlm.nih.gov/23612050/ 연결]</ref>. 재발의 시기는 3~96개월까지 다양하나 평균적으로 20개월 정도에서 발생하였다. 내경계막을 함께 제거하는 것은 ERM의 재발을 유의하게 줄일 수 있다. 63,6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