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앞막: 두 판 사이의 차이

171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10월 21일 (월)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11번째 줄: 11번째 줄:
=== 특발성 (idiopathic) ===
=== 특발성 (idiopathic) ===
특별한 원인이 되는 안질환이나 병변이 발견되지 않는 경우로, [[후유리체 박리]]와 관련하여 유리체-망막 경계면의 이상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유리체-황반 견인 증후군]]과 [[황반 원공]] 등과 공통점이 있으며, 이 질환들을 묶어 유리체-망막 경계면 질환 (vitreo-retinal interface disorder) 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특별한 원인이 되는 안질환이나 병변이 발견되지 않는 경우로, [[후유리체 박리]]와 관련하여 유리체-망막 경계면의 이상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유리체-황반 견인 증후군]]과 [[황반 원공]] 등과 공통점이 있으며, 이 질환들을 묶어 유리체-망막 경계면 질환 (vitreo-retinal interface disorder) 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 속발성 ===
=== 속발성<ref>McLeod D et al. Age-related cellular proliferation at the V-R juncture. ''Eye (Lond)''. 1987;1 (Pt 2):263-81. [https://pubmed.ncbi.nlm.nih.gov/3308529/ 연결]</ref> ===
* 망막 혈관 질환 : 망막 정맥 폐쇄, [[당뇨 망막병증]], [[고혈압 망막병증]], 혈관 확장증, 세동맥류, 겸상 적혈구 망막병증 등
* 망막 혈관 질환 : 망막 정맥 폐쇄, [[당뇨 망막병증]], [[고혈압 망막병증]], 혈관 확장증, 세동맥류, 겸상 적혈구 망막병증 등
* 안내 염증 : 뒤포도막염, 중간 포도막염, [[눈 톡소플라즈마증]], [[사르코이드증]] 등
* 안내 염증 : 뒤포도막염, 중간 포도막염, [[눈 톡소플라즈마증]], [[사르코이드증]] 등
19번째 줄: 19번째 줄:
* 기타 : 망막 색소변성, 망막 변성 등
* 기타 : 망막 색소변성, 망막 변성 등
* 수술 : 망막 박리, 망막 광응고, 냉동 망막 유착술, [[실리콘 기름]] 주입 등
* 수술 : 망막 박리, 망막 광응고, 냉동 망막 유착술, [[실리콘 기름]] 주입 등
== 기전, 병리 ==
== 기전, 병리 ==
아직 ERM의 형성이 어떻게 시작하는가에 대한 것은 명확히 규명되어 있지 않으나, 망막 손상이나 질환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반응성 신경아교증 (reactive gliosis) 임을 뒷받침하는 증거들이 있다. ERM은 섬유세포성 무혈관 막으로 망막 및 망막외에서 기원한 세포들과 교원질, 라미닌 등의 세포외기질로 구성되어 있다. 신경아교세포 (gliocyte), RPE, 섬유세포 (fibrocyte), 유리체세포 (hyalocyte) 외에도 여러 염증 세포가 망막앞막의 생성에 관여한다<ref>Bringmann A et al. Involvement of Müller glial cells in ERM formation.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09 Jul;247(7):865-83. [https://pubmed.ncbi.nlm.nih.gov/19415318/ 연결]</ref><ref>Lesnik Oberstein SY et al. Evidence that neurites in human ERM express melanopsin, calretinin, rod opsin and neurofilament protein. ''BJO''. 2011 Feb;95(2):266-72. [https://pubmed.ncbi.nlm.nih.gov/20971788/ 연결]</ref>.
아직 ERM의 형성이 어떻게 시작하는가에 대한 것은 명확히 규명되어 있지 않으나, 망막 손상이나 질환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반응성 신경아교증 (reactive gliosis) 임을 뒷받침하는 증거들이 있다. ERM은 섬유세포성 무혈관 막으로 망막 및 망막외에서 기원한 세포들과 교원질, 라미닌 등의 세포외기질로 구성되어 있다. 신경아교세포 (gliocyte), RPE, 섬유세포 (fibrocyte), 유리체세포 (hyalocyte) 외에도 여러 염증 세포가 망막앞막의 생성에 관여한다<ref>Bringmann A et al. Involvement of Müller glial cells in ERM formation.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09 Jul;247(7):865-83. [https://pubmed.ncbi.nlm.nih.gov/19415318/ 연결]</ref><ref>Lesnik Oberstein SY et al. Evidence that neurites in human ERM express melanopsin, calretinin, rod opsin and neurofilament protein. ''BJO''. 2011 Feb;95(2):266-72. [https://pubmed.ncbi.nlm.nih.gov/20971788/ 연결]</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