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9
번
잔글 (→역학) |
잔글 (→역학) |
||
9번째 줄: | 9번째 줄: | ||
ERM은 60세 이상에서 흔하고 연령 증가에 따라 빈도가 증가하나 소아나 젊은이에서도 가끔 발생한다<ref name=r2>Mitchell P et al. Prevalence and associations of ERM. The Blue Mountains Eye Study, Australia. ''Ophthalmology''. 1997 Jun;104(6):1033-40. [https://pubmed.ncbi.nlm.nih.gov/9186446/ 연결]</ref>. 대규모 인구 기반 코호트 연구에서 유병률은 7~11.8%로 보 고되었다<ref name=r2 /><ref name=r3>Klein R et al. The epidemiology of ERM. ''Trans Am Ophthalmol Soc''. 1994;92:403-25; discussion 425-30. [https://pubmed.ncbi.nlm.nih.gov/7886875/ 연결]</ref><ref name=r4>Fraser-Bell S et al. 5y cumulative incidence and progression of ERM : the Blue Mountains Eye Study. ''Ophthalmology''. 2003 Jan;110(1):34-40. [https://pubmed.ncbi.nlm.nih.gov/12511343/ 연결]</ref>. 양안성은 19.5~31%에서 관찰되었으며<ref name=r2 /><ref name=r3 /><ref name=r4 /> 한쪽 눈에 발생한 경우 반대안에 발생 빈도는 5년 내에 13.5%였다<ref name=r4 />. 유병률이 인종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보고가 있으며 백인에 비하여 중국인은 높게<ref>Ng CH et al. Prevalence and RFs for ERM in a multi-ethnic US population. ''Ophthalmology''. 2011 Apr;118(4):694-9. [https://pubmed.ncbi.nlm.nih.gov/21035863/ 연결]</ref>, 반면 일본인에서는 낮게 조사되었다<ref>Miyazaki M et al. Prevalence and RFs for ERM in a Japanese population : the Hisayama study.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03 Aug;241(8):642-6. [https://pubmed.ncbi.nlm.nih.gov/12883915/ 연결]</ref>. 중국에서 시행한 인구 기반 연구에 따르면 40대 이상에서 10년 누적 발병률은 8.4%였다<ref>Yang Y et al. 10y cumulative incidence of ERM assessed on fundus photographs. The Beijing Eye Study 2001/2011. ''PLoS One''. 2018 Apr 26;13(4):e0195768. [https://pubmed.ncbi.nlm.nih.gov/29698410/ 연결]</ref>. 국내 인구 기반 연구에서 ERM의 유병률은 앞서 언급한 다른 연구들보다 낮은 2.9%로 조사되었다<ref>Kim JM et al; Epidemiologic Survey Committee of the KOS. ERM : Prevalence and RFs from the KNHNES, 2008~2012. ''KJO''. 2017 Dec;31(6):514-523. [https://pubmed.ncbi.nlm.nih.gov/29022294/ 연결]</ref>. 여성에서 더 흔하다는 보고가 많은데 고연령층에서 남녀 생존율의 차이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 ERM은 60세 이상에서 흔하고 연령 증가에 따라 빈도가 증가하나 소아나 젊은이에서도 가끔 발생한다<ref name=r2>Mitchell P et al. Prevalence and associations of ERM. The Blue Mountains Eye Study, Australia. ''Ophthalmology''. 1997 Jun;104(6):1033-40. [https://pubmed.ncbi.nlm.nih.gov/9186446/ 연결]</ref>. 대규모 인구 기반 코호트 연구에서 유병률은 7~11.8%로 보 고되었다<ref name=r2 /><ref name=r3>Klein R et al. The epidemiology of ERM. ''Trans Am Ophthalmol Soc''. 1994;92:403-25; discussion 425-30. [https://pubmed.ncbi.nlm.nih.gov/7886875/ 연결]</ref><ref name=r4>Fraser-Bell S et al. 5y cumulative incidence and progression of ERM : the Blue Mountains Eye Study. ''Ophthalmology''. 2003 Jan;110(1):34-40. [https://pubmed.ncbi.nlm.nih.gov/12511343/ 연결]</ref>. 양안성은 19.5~31%에서 관찰되었으며<ref name=r2 /><ref name=r3 /><ref name=r4 /> 한쪽 눈에 발생한 경우 반대안에 발생 빈도는 5년 내에 13.5%였다<ref name=r4 />. 유병률이 인종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보고가 있으며 백인에 비하여 중국인은 높게<ref>Ng CH et al. Prevalence and RFs for ERM in a multi-ethnic US population. ''Ophthalmology''. 2011 Apr;118(4):694-9. [https://pubmed.ncbi.nlm.nih.gov/21035863/ 연결]</ref>, 반면 일본인에서는 낮게 조사되었다<ref>Miyazaki M et al. Prevalence and RFs for ERM in a Japanese population : the Hisayama study.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03 Aug;241(8):642-6. [https://pubmed.ncbi.nlm.nih.gov/12883915/ 연결]</ref>. 중국에서 시행한 인구 기반 연구에 따르면 40대 이상에서 10년 누적 발병률은 8.4%였다<ref>Yang Y et al. 10y cumulative incidence of ERM assessed on fundus photographs. The Beijing Eye Study 2001/2011. ''PLoS One''. 2018 Apr 26;13(4):e0195768. [https://pubmed.ncbi.nlm.nih.gov/29698410/ 연결]</ref>. 국내 인구 기반 연구에서 ERM의 유병률은 앞서 언급한 다른 연구들보다 낮은 2.9%로 조사되었다<ref>Kim JM et al; Epidemiologic Survey Committee of the KOS. ERM : Prevalence and RFs from the KNHNES, 2008~2012. ''KJO''. 2017 Dec;31(6):514-523. [https://pubmed.ncbi.nlm.nih.gov/29022294/ 연결]</ref>. 여성에서 더 흔하다는 보고가 많은데 고연령층에서 남녀 생존율의 차이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 ||
속발성 ERM은 각종 안과적 질환이나 안과 시술 뒤에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망막 열공 및 열공 망막박리와 관련되어 예방적 레이저 시술이나 냉동술, | 속발성 ERM은 각종 안과적 질환이나 안과 시술 뒤에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망막 열공 및 열공 망막박리와 관련되어 예방적 레이저 시술이나 냉동술<ref>Blackorby BL et al. ERM Formation after Treatment of Retinal Breaks : Cryoretinopexy vs Laser Retinopexy. ''Ophthalmol Retina''. 2019 Dec;3(12):1087-1090. [https://pubmed.ncbi.nlm.nih.gov/31446030/ 연결]</ref>, 공막돌륭술<ref>Wilkinson CP. Visual results following scleral buckling for RD sparing the macula. ''Retina''. 1981;1(2):113-6. [https://pubmed.ncbi.nlm.nih.gov/7348824/ 연결]</ref>, 그리고 유리체 절제술<ref>Martínez-Castillo V et al. ERM after PPV for primary pseudophakic or aphakic RRD : incidence and outcomes. ''Retina''. 2012 Jul;32(7):1350-5. [https://pubmed.ncbi.nlm.nih.gov/22414957/ 연결]</ref><ref>Heo MS et al. The clinical features of macular pucker formation after PPV for primary RRD repair. ''KJO''. 2012 Oct;26(5):355-61. [https://pubmed.ncbi.nlm.nih.gov/23060722/ 연결]</ref> 뒤에 2~8% 빈도의 발생이 보고되었다. 망막박리 수술 후에 ERM 발생의 위험인자로 는 고령, 술 전 유리체 출혈, 황반 박리, 술 전 증식 유리체 망막병증, 큰 열공,수술 중 냉동술 시행, 실리콘 주입 및 여러 번의 수술을 한 경우 등이다. 한 인구 기반 연구에서 백내장 수술을 시행한 눈의 9.1 %에서 새로운 ERM이 생겼다<ref name=r4 />. 백내장 수술 후 높은 빈도로 [[후유리체 박리|PVD]]가 발생하는데<ref>Hilford D et al. PVD following cataract surgery. ''Eye (Lond)''. 2009 Jun;23(6):1388-92. [https://pubmed.ncbi.nlm.nih.gov/18776863/ 연결]</ref>, 이와 연관된 것으로 생각된다. | ||
== 원인 == | == 원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