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앞막: 두 판 사이의 차이

500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10월 21일 (월)
잔글
잔글 (→‎증상)
45번째 줄: 45번째 줄:


ERM에서 변시증은 흔하며 망막의 손상 정도 및 수 술 예후와 관련되어 있다<ref>Takabatake M et al. Postoperative Changes and Prognostic Factors of VA, Metamorphopsia, and Anisekonia after Vitrectomy for ERM. ''Retina''. 2018 Nov;38(11):2118-2127. [https://pubmed.ncbi.nlm.nih.gov/28858064/ 연결]</ref>. 암슬러 격자를 이용하여 정성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M-chart는 수직과 수평 방향으로 정량적 측정이 가능하여 수술 시행을 결정 하거나 수술 후 호전을 평가하는 데 유용하다. 변형시는 OCT에서 관찰되는 망막의 변형 정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ref>Watanabe A et al. Correlation btw metamorphopsia and ERM OCT findings. ''Ophthalmology''. 2009 Sep;116(9):1788-93. [https://pubmed.ncbi.nlm.nih.gov/19643494/ 연결]</ref>, 그 기전은 명확하지 않으나 망막내층의 신경 전도 이상이나 시세포의 이상 배열로 인하여 생기는 것으로 생각된다. 대시증이 소시증보다는 좀 더 흔하며<ref>Ugarte M et al. Aniseikonia a/w ERM. ''BJO''. 2005 Dec;89(12):1576-80. [https://pubmed.ncbi.nlm.nih.gov/16299133/ 연결]</ref>, 중심오목 전이 (foveal ectopia) 로 인한 단안 복시는 드물다.
ERM에서 변시증은 흔하며 망막의 손상 정도 및 수 술 예후와 관련되어 있다<ref>Takabatake M et al. Postoperative Changes and Prognostic Factors of VA, Metamorphopsia, and Anisekonia after Vitrectomy for ERM. ''Retina''. 2018 Nov;38(11):2118-2127. [https://pubmed.ncbi.nlm.nih.gov/28858064/ 연결]</ref>. 암슬러 격자를 이용하여 정성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M-chart는 수직과 수평 방향으로 정량적 측정이 가능하여 수술 시행을 결정 하거나 수술 후 호전을 평가하는 데 유용하다. 변형시는 OCT에서 관찰되는 망막의 변형 정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ref>Watanabe A et al. Correlation btw metamorphopsia and ERM OCT findings. ''Ophthalmology''. 2009 Sep;116(9):1788-93. [https://pubmed.ncbi.nlm.nih.gov/19643494/ 연결]</ref>, 그 기전은 명확하지 않으나 망막내층의 신경 전도 이상이나 시세포의 이상 배열로 인하여 생기는 것으로 생각된다. 대시증이 소시증보다는 좀 더 흔하며<ref>Ugarte M et al. Aniseikonia a/w ERM. ''BJO''. 2005 Dec;89(12):1576-80. [https://pubmed.ncbi.nlm.nih.gov/16299133/ 연결]</ref>, 중심오목 전이 (foveal ectopia) 로 인한 단안 복시는 드물다.
=== 안저 ===
ERM의 진단은 기본적으로 세극등 안저 검사에 의한 임상 진단이지만 최근 OCT가 보편화되어 전통적인 검사들을 빠르게 대체해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 동반된 이상을 평가하고 특발성과 속발성을 감별하는 데 있어서 안저 검사는 필수적이다. 망막출혈, 삼출물, 면화반이나 혈관초 등이 관찰된다면 망막 혈관 질환이 합병되어 있을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 감별 진단 ==
== 감별 진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