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앞막: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298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10월 21일 (월)
잔글
잔글 (→‎원인)
잔글 (→‎분류)
23번째 줄: 23번째 줄:
* 수술 : 망막 박리, 망막 광응고, 냉동 망막 유착술, [[실리콘 기름]] 주입 등
* 수술 : 망막 박리, 망막 광응고, 냉동 망막 유착술, [[실리콘 기름]] 주입 등
== 분류 ==
== 분류 ==
안저 소견에 따라 임상적으로 중증도를 분류하는 기준이 Gass<ref>Gass JDM. Stereoscopic atlas of macular diseases : diagnosis and treatment, 4th ed. St Louis:, CV Mosby, 1997;938-51</ref>에 의하여 제시되었다.
* 0기 (셀로판 황반병증) : 막이 투명하고 망막 왜곡이 없는 경우
* 1기 : 내측 망막의 주름을 만드는 막 - 처음 진단되는 ERM의 대부분은 이 단계에 속한다. 중심오목을 침범하는 경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나 대부분 미미하여 비우세안인 경우 반대 눈을 가린 경우에만 인지되기도 한다. 시력 저하는 심하지 않으며 변시증, 광시증, 대시증, 드물게 단안 복시를 호소하기도 한다.
* 2기 : 혈관 및 망막 전층의 왜곡을 동반한 두껍고 혼탁한 막 - 혈관의 변형이 심한 경우 혈관의 구불거림, 망막 출혈, 삼출물이나 낭포 황반부종 등 혈관 질환의 소견이 동반될 수 있다. 망막 신경섬유층의 축삭형질 정체 (axoplasmic stasis) 로 망막내층의 백색 혼탁이나 면화반이 나타나기도 한다. 드물지만 매우 진행한 질환에서는 RPE의 변화도 나타날 수 있으며 망막앞막의 수술 후에 시력 회복이 불량한 예후 인자로 간주된다.


== 기전, 병리 ==
== 기전, 병리 ==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