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9
번
잔글 (→분류) |
잔글 (→안저) |
||
52번째 줄: | 52번째 줄: | ||
=== 안저 === | === 안저 === | ||
ERM의 진단은 기본적으로 세극등 안저 검사에 의한 임상 진단이지만 최근 OCT가 보편화되어 전통적인 검사들을 빠르게 대체해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 동반된 이상을 평가하고 특발성과 속발성을 감별하는 데 있어서 안저 검사는 필수적이다. 망막출혈, 삼출물, 면화반이나 혈관초 등이 관찰된다면 망막 혈관 질환이 합병되어 있을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 ERM의 진단은 기본적으로 세극등 안저 검사에 의한 임상 진단이지만 최근 OCT가 보편화되어 전통적인 검사들을 빠르게 대체해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 동반된 이상을 평가하고 특발성과 속발성을 감별하는 데 있어서 안저 검사는 필수적이다. 망막출혈, 삼출물, 면화반이나 혈관초 등이 관찰된다면 망막 혈관 질환이 합병되어 있을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 ||
임상 소견은 막의 심한 정도와 막의 수축 유무에 따라 안저 검사에서 다양한 형태로 관찰된다. 매우 얇고 투명한 막은 세극등 안저 검사로 주의 깊게 관찰해야만 알 수 있고 황반에서 미세하게 반짝이는 불규칙한 빛 반사가 보일 수 있으며 가장자리는 보이지 않는다. 중심오목 반사가 무디게 되거나 불규칙하게 보일 수 있다. 이런 얇은 막의 빛 반사는 짧은 파장의 빛에서 더 잘 보이며 무적색광 안저 사진은 막의 진단과 범위 파악에 유용하다. | |||
더 두꺼운 막은 불투명하여 아래에 있는 망막 혈관이 흐려 보인다. 수축을 일으키면 막 가장자리에서 방사상으로 망막 주름을 만든다. 주변 망막 혈관을 견인하여 왜곡시키고 큰 망막 혈관이 더 직선화되는 것도 드물지 않다. | |||
세극등 안저 소견에서 낭포 변화를 포함한 황반 부종은 20~40%에서 보이며, ERM에서 동반된 망막낭이 파열되어 망막내층의 결손으로 부분층 황반원공 (lamellar hole) 이 생길 수 있다. ERM의 한 형태로 가성 황반원공 (pseudo-macular hole) 과 [[유리체-황반 견인 증후군]] (vitreo- macular traction syndrome) 이 있다. 이러한 소견들은 OCT에서 더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 |||
== 감별 진단 == | == 감별 진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