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앞막: 두 판 사이의 차이

471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10월 22일 (화)
잔글
잔글 (→‎안저)
잔글 (→‎안저)
61번째 줄: 61번째 줄:


[[후유리체 박리|PVD]]는 ERM의 70~90%에서 동반되어 있다<ref name=r20 /><ref name=r21 /><ref name=r22 />.  와이스 고리가 명백하게 관찰되지 않는 경우 시신경 유두 부위를 OCT로 촬영하여 [[후유리체 박리|PVD]] 여부를 확인할수 있다<ref>Uchino E et al. Initial stages of PVD in healthy eyes of older persons evaluated by OCT. ''Arch Ophthalmol''. 2001 Oct;119(10):1475-9. [https://pubmed.ncbi.nlm.nih.gov/11594947/ 연결]</ref>. [[후유리체 박리|PVD]]가 없는 경우 [[후유리체 박리|PVD]]가 일어나는 과정에서 ERM이 망막에서 자연 분리되어 증상이 호전되기도 한다<ref>Nomoto H et al. Quantification of changes in metamorphopsia and retinal contraction in eyes w spontaneous separation of idiopathic ERM. ''Eye (Lond)''. 2013 Aug;27(8):924-30. [https://pubmed.ncbi.nlm.nih.gov/23722721/ 연결]</ref>.
[[후유리체 박리|PVD]]는 ERM의 70~90%에서 동반되어 있다<ref name=r20 /><ref name=r21 /><ref name=r22 />.  와이스 고리가 명백하게 관찰되지 않는 경우 시신경 유두 부위를 OCT로 촬영하여 [[후유리체 박리|PVD]] 여부를 확인할수 있다<ref>Uchino E et al. Initial stages of PVD in healthy eyes of older persons evaluated by OCT. ''Arch Ophthalmol''. 2001 Oct;119(10):1475-9. [https://pubmed.ncbi.nlm.nih.gov/11594947/ 연결]</ref>. [[후유리체 박리|PVD]]가 없는 경우 [[후유리체 박리|PVD]]가 일어나는 과정에서 ERM이 망막에서 자연 분리되어 증상이 호전되기도 한다<ref>Nomoto H et al. Quantification of changes in metamorphopsia and retinal contraction in eyes w spontaneous separation of idiopathic ERM. ''Eye (Lond)''. 2013 Aug;27(8):924-30. [https://pubmed.ncbi.nlm.nih.gov/23722721/ 연결]</ref>.
ERM의 수축으로 ILM의 파열이 발생하기도 한다. 수술을 시행받는 ERM 환자의 10%에서 ILM의 파열이 동반되어 있었다<ref>Bovey EH et al. Tearing and folding of the retinal ILM a/w macular ERM. ''Retina''. 2008 Mar;28(3):433-40. [https://pubmed.ncbi.nlm.nih.gov/18327135/ 연결]</ref>. ILM의 파열은 안저 검사에서 특징적으로 망막앞이 말려있고 그 가장자리에서 망막의 주름이 소실된 것이 관찰된다.


== 감별 진단 ==
== 감별 진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