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앞막: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742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10월 22일 (화)
잔글
잔글 (→‎안저)
잔글 (→‎OCT)
64번째 줄: 64번째 줄:
ERM의 수축으로 ILM의 파열이 발생하기도 한다. 수술을 시행받는 ERM 환자의 10%에서 ILM의 파열이 동반되어 있었다<ref>Bovey EH et al. Tearing and folding of the retinal ILM a/w macular ERM. ''Retina''. 2008 Mar;28(3):433-40. [https://pubmed.ncbi.nlm.nih.gov/18327135/ 연결]</ref>. ILM의 파열은 안저 검사에서 특징적으로 망막앞이 말려있고 그 가장자리에서 망막의 주름이 소실된 것이 관찰된다.
ERM의 수축으로 ILM의 파열이 발생하기도 한다. 수술을 시행받는 ERM 환자의 10%에서 ILM의 파열이 동반되어 있었다<ref>Bovey EH et al. Tearing and folding of the retinal ILM a/w macular ERM. ''Retina''. 2008 Mar;28(3):433-40. [https://pubmed.ncbi.nlm.nih.gov/18327135/ 연결]</ref>. ILM의 파열은 안저 검사에서 특징적으로 망막앞이 말려있고 그 가장자리에서 망막의 주름이 소실된 것이 관찰된다.
=== [[빛간섭 단층 촬영|OCT]] ===
=== [[빛간섭 단층 촬영|OCT]] ===
현재 [[빛간섭 단층 촬영|OCT]]는 ERM을 포함한 유리체-망막 경계면 이상의 진단 및 경과 평가에 필수적인 검사 기구로 자리잡았다<ref>Nigam N et al. SD OCT for imaging ERM, retinal edema, and V-M interface. ''Retina''. 2010 Feb;30(2):246-53. [https://pubmed.ncbi.nlm.nih.gov/19940804/ 연결]</ref><ref>Witkin AJ et al. Redefining lamellar holes and the V-M interface : an ultrahigh-resolution OCT study. ''Ophthalmology''. 2006 Mar;113(3):388-97. [https://pubmed.ncbi.nlm.nih.gov/16513456/ 연결]</ref><ref>Wilkins JR et al. Characterization of ERM using OCT. ''Ophthalmology''. 1996 Dec;103(12):2142-51. [https://pubmed.ncbi.nlm.nih.gov/9003350/ 연결]</ref>. ERM의 위치, 범위 뿐 아니라 동반된 망막의 변형과 손상을 정확하고 재현성 있게 검사할 수 있다. [[빛간섭 단층 촬영|OCT]]는 ERM에 의한 중심와 함몰의 형태 변화, 망막 주름, ERM의 견인에 의한 망막 두께의 증가를 임상적으로 평가하는 데 중요하다. 병변의 위치, 유리체-황반 견인 증후군 같은 유리체-망막 관계의 확인, 망막 원공의 발견, 망막층의 분리, 망막내 낭포 또는 망막의 내층과 외층 등의 특정 망막층의 손상이나 미세 구조의 변화를 알 수 있다. OCT를 이용한 경과 관찰은 수술 시행 여부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정보가 된다. 수술 계획을 세우는데 있어서는 사전에 수술 난이도를 평가하고 막을 제거하는 시작 부위 결정에 도움이 된다. 또한 환자에게 설명하는 좋은 자료가 되고, 술 전 두께와 술 후 회복, 막의 재증식 등을 양적으로 측정이 가능하여 술 후 관리에 도움이 된다.


== 감별 진단 ==
== 감별 진단 ==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