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역학)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특발성 중심와부근 모세혈관 확장증 2형 (idiopathic juxtafoveal telangiectasis type 2; IJT2)'''{{망막}} | |||
== 역학 == | == 역학 == | ||
[[특발성 중심와부근 모세혈관 확장증|IJT]] 중에서 가장 흔한 형태이며, 주로 중년 (평균 55세) 남녀 모두에서 발생하며, <span style='color:blue;'>여성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span>되고 있다. 양안에 나타나며 대칭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지만, 비대칭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시력 감소 역시 한 눈에 먼저 나타날 수 있다. | [[특발성 중심와부근 모세혈관 확장증|IJT]] 중에서 가장 흔한 형태이며, 주로 중년 (평균 55세) 남녀 모두에서 발생하며, <span style='color:blue;'>여성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span>되고 있다. 양안에 나타나며 대칭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지만, 비대칭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시력 감소 역시 한 눈에 먼저 나타날 수 있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 5기 : <span style='color:blue;'>망막하 신생혈관</span>이 발생하고 망막 모세혈관의 재구성과 증식이 외층 망막에으로 진행하여 결국 위축된다. 망막하 신생혈관이 삼출물을 유발하거나 망막 박리, 망막내 또는 망막하 출혈, 그리고 섬유혈관성 증식을 유발하면서 시력은 급격히 떨어진다. | # 5기 : <span style='color:blue;'>망막하 신생혈관</span>이 발생하고 망막 모세혈관의 재구성과 증식이 외층 망막에으로 진행하여 결국 위축된다. 망막하 신생혈관이 삼출물을 유발하거나 망막 박리, 망막내 또는 망막하 출혈, 그리고 섬유혈관성 증식을 유발하면서 시력은 급격히 떨어진다. | ||
== 시술 및 레이저 치료 == | == 시술 및 레이저 치료 == | ||
레이저 | * 레이저 광응고 | ||
* 광역학 치료 (photodynamic therapy, PDT) | |||
* 유리체강 내 트리암시놀론 (intravitreal triamcinolon, IVTA) 주사 | |||
* 유리체강 내 [[항 혈관내피 성장인자]] (anti-VEGF) 주사 | |||
등 다양한 치료가 이용되고 있다. 2형의 비증식 단계에서는 시력 소실의 원인 은 삼출물에 의한 것이 아니라 중심와 위축에 의한 것이므로 레이저 광응고술 등은 치료 효과가 없다고 알려져 있으며, PDT와 [[anti-VEGF]] 주사도 효과가 있는지 불확실하다. 망막 신경 위축에 의한 부분을 치료하고자 최근 Ciliary Neurotrophic Factor (CNTF) 를 이용한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고, 2상 결과에서 치료군의 경우 시세포 소실의 감소와 독서 속도 향상에 비교적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18 망막하 신생혈관이 발생한 2형의 5단계인 증식 단계에서는 레이저 광응고, PDT, [[경동공 온열요법]] , IVTA, 망막하 신생혈관의 수술적 제거 등이 소개되었으며, 최근 반복적인 anti-VEGF 주사 치료 후 고무적인 해부학적, 기능적 결과 발표하기도 하였으나 아직 그 효과는 명확하지 않다<ref></ref>. 또한 황반 위축과 두께 감소에 의한 황반 원공이 발생하는 경우 유리체 절제술을 시행하기도 하지만 이 역시 효과가 명확하지 않다<ref>Karth PA et al. Outcomes of macular hole surgeries for MacTel type 2. ''Retina''. 2014 May;34(5):907-15. [https://pubmed.ncbi.nlm.nih.gov/24270919/ 연결]</ref>. |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