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발성 중심와부근 모세혈관 확장증/2형: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16번째 줄: 16번째 줄:
* [[나이관련 황반변성]] (AMD) : AMD에서의 CNV는 망막 모세혈관의 이상 없이 [[망막 색소상피]] (RPE) 의 이상과 드루젠을 동반한다.
* [[나이관련 황반변성]] (AMD) : AMD에서의 CNV는 망막 모세혈관의 이상 없이 [[망막 색소상피]] (RPE) 의 이상과 드루젠을 동반한다.
* [[노른자 모양 황반 이상증|노른자 모양 황반변성]] : FA에서 중심와부근 모세혈관의 확장과 누출 유무로 감별할 수 있다.
* [[노른자 모양 황반 이상증|노른자 모양 황반변성]] : FA에서 중심와부근 모세혈관의 확장과 누출 유무로 감별할 수 있다.
* [[[타목시펜 망막병증]] : 최근 타목시펜을 사용하는 유방암 환자들에게서 안저 검사의 결절 침착물 (crystalline deposit) 과 OCT의 망막 위축에 의한 특징적인 저반사도의 망막 내 가성 낭포성 공간 (pseudocystic foveaI cavitation) 과 시세포층의 손상이 관찰되는 경우가 있다. 타목시펜 망막병증 역시 뮐러세포의 손상에 의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고 2형과 상당히 비슷한 소견을 보이고 있으나, 두 질환의 연관성에 대하여 아직까지 명확하게 결론을 내리고 있지 못하다<ref>Kim HA et al. Prevalence and RFs of Tamoxifen Retinopathy. ''Ophthalmology''. 2020 Apr;127(4):555-557. [https://pubmed.ncbi.nlm.nih.gov/31813590/ 연결]</ref>.
* [[타목시펜 망막병증]] : 최근 타목시펜을 사용하는 유방암 환자들에게서 안저 검사의 결절 침착물 (crystalline deposit) 과 OCT의 망막 위축에 의한 특징적인 저반사도의 망막 내 가성 낭포성 공간 (pseudocystic foveaI cavitation) 과 시세포층의 손상이 관찰되는 경우가 있다. 타목시펜 망막병증 역시 뮐러세포의 손상에 의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고 2형과 상당히 비슷한 소견을 보이고 있으나, 두 질환의 연관성에 대하여 아직까지 명확하게 결론을 내리고 있지 못하다<ref>Kim HA et al. Prevalence and RFs of Tamoxifen Retinopathy. ''Ophthalmology''. 2020 Apr;127(4):555-557. [https://pubmed.ncbi.nlm.nih.gov/31813590/ 연결]</ref>.


== 시술 및 레이저 치료 ==
== 시술 및 레이저 치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