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관련 황반변성/유전: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74 바이트 제거됨 ,  2024년 10월 24일 (목)
잔글
37번째 줄: 37번째 줄:


== Complement component 2 / factor B ==
== Complement component 2 / factor B ==
C2와 CFB는 둘 다 CFH와 같이 보체 경로를 조절하는 주요한 인자들이다. 특히 이 유전자의 특정 SNP는 AMD의 위험성을 낮추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Gold B et al. Variation in factor B (BF) and complement component 2 (C2) genes is a/w AMD. ''Nat Genet''. 2006 Apr;38(4):458-62. [https://pubmed.ncbi.nlm.nih.gov/16518403/ 연결]</ref>. 연구 결과가 많지는 않으나 동양인에서도 어느 정도 관련성이 있다는 보고가 있으며,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 에서는 대상 환자가 적어서 통계학적으로 큰 의미를 갖지는 못하였으나 보호 효과가 있는 경우를 보여 주었다<ref name="r61">Kim SJ et al. Association of polymorphisms in C2, CFB and C3 with wAMD in a Korean population. ''Exp Eye Res''. 2012 Mar;96(1):42-7. [https://pubmed.ncbi.nlm.nih.gov/22273503/ 연결]</ref>.  
C2와 CFB는 둘 다 CFH와 같이 보체 경로를 조절하는 주요한 인자들이다. 특히 이 유전자의 특정 SNP는 AMD의 위험성을 낮추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 name=r12 />. 연구 결과가 많지는 않으나 동양인에서도 어느 정도 관련성이 있다는 보고가 있으며,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 에서는 대상 환자가 적어서 통계학적으로 큰 의미를 갖지는 못하였으나 보호 효과가 있는 경우를 보여 주었다<ref name="r61">Kim SJ et al. Association of polymorphisms in C2, CFB and C3 with wAMD in a Korean population. ''Exp Eye Res''. 2012 Mar;96(1):42-7. [https://pubmed.ncbi.nlm.nih.gov/22273503/ 연결]</ref>.
 
== Complement component 3 ==
== Complement component 3 ==
[[나이관련 황반변성|AMD]]의 위험도를 높이는 것으로 알려 져 있지만24*25 한국인을 비롯한 동양인에서는 다형성 (polymorphism) 자체가 적어 뚜렷한 관계가 증명되지는 못했다<ref name="r61" />.
[[나이관련 황반변성|AMD]]의 위험도를 높이는 것으로 알려 져 있지만24*25 한국인을 비롯한 동양인에서는 다형성 (polymorphism) 자체가 적어 뚜렷한 관계가 증명되지는 못했다<ref name="r61" />.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