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관련 황반변성/건성: 두 판 사이의 차이

349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10월 26일 (토)
잔글
2번째 줄: 2번째 줄:
[[황반/노화]] 참고
[[황반/노화]] 참고
== 발생과 진행 ==
== 발생과 진행 ==
AMD의 임상적 진단은 안저 소견상 드루젠이나 동반된 색소 이상을 확인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사실 병리학적으로 정의된 AMD는 별개로 연구가 진행되어 온 관계로 이 둘 간의 상관관계를 찾아내기는 어렵다. 일례로 황반변성의 병리학적 소견상 확인되는 기저 침착 (basal deposits) 과 같은 경우 안저 소견에서는 확인되지 않는데, 최근의 망막 이미징의 발전 특히 조직학적 소견에 육박하는 해상도를 보이는 OCT로는 이를 확인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기는 하지만 아직은 직접적인 결과는 없다.
AMD의 임상적 진단은 안저 소견상 드루젠이나 동반된 색소 이상을 확인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사실 병리학적으로 정의된 AMD는 별개로 연구가 진행되어 온 관계로 이 둘 간의 상관관계를 찾아내기는 어렵다. 일례로 황반변성의 병리학적 소견상 확인되는 기저 침착 (basal deposits) 과 같은 경우 안저 소견에서는 확인되지 않는데, 최근의 망막 이미징의 발전 특히 조직학적 소견에 육박하는 해상도를 보이는 [[빛간섭 단층 촬영]] (OCT) 로는 이를 확인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기는 하지만 아직은 직접적인 결과는 없다.


나이가 들면서 지방 갈색소를 가지고 있는 RPE들은 사라질 수 있고, 이는 주위에 있는 세포들에 의해 탐식된다. 이러한 과정에서는 안저 소견은 보통 정상 소견을 보이 나, 더 노화가 진행된 눈에서는 작은 색소덩어 리들이 미만성으로 얼룩모양을 띠는 형태 또는 미세한 망 상모양으로 작은 선들01      모여있는 형태 등을 나타낼 수 있 다. 나이관련황반변성의 진행은 안저검사에서 보이는 이 러한 색소이상(pigmentary disturbance)^ 정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데 이것은 전형적인 드루젠이 없이도 생길 수 있다. 눈에서 시세포, 망막색소상피, 브루크막, 맥락막 의 형태학적인 변화는 일생에 걸쳐 일어난다. 하지만 망 막색소상피의 바닥에서 생기는 변화는 주로 나이가 들면 서 생긴다. 이는 바닥막유사물질(basement membrane-like material)의 축적과 막부스러기(membranous debris 의 탈락 (shedding)과 관련이 있는데, 이러한 변화들이 보통 처음에 는 안저에서 부분적으로 분포하지만, 이러한 변화가 미만 성으로 나타나는 것은 나이관련황반변성의 중요한 모습 이다(그림 1)22-23
나이가 들면서 지방 갈색소를 가지고 있는 [[망막 색소상피]] (RPE) 들은 사라질 수 있고, 이는 주위에 있는 세포들에 의해 탐식된다. 이러한 과정에서는 안저 소견은 보통 정상 소견을 보이나, 더 노화가 진행된 눈에서는 작은 색소 덩어 리들이 미만성으로 얼룩 모양을 띠는 형태 또는 미세한 망상 모양으로 작은 선들이 모여있는 형태 등을 나타낼 수 있다. AMD의 진행은 안저 검사에서 보이는 이러한 색소 이상 (pigmentary disturbance) 정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데 이것은 전형적인 드루젠이 없이도 생길 수 있다. 눈에서 시세포, [[망막 색소상피|RPE]], [[브루크막]], [[맥락막]]의 형태학적인 변화는 일생에 걸쳐 일어난다. 하지만 [[망막 색소상피|RPE]]의 바닥에서 생기는 변화는 주로 나이가 들면서 생긴다. 이는 바닥막 유사 물질 (basement membrane-like material) 의 축적과 [[막 부스러기]]의 탈락 (shedding) 과 관련이 있는데, 이러한 변화들이 보통 처음에는 안저에서 부분적으로 분포하지만, 이러한 변화가 미만성으로 나타나는 것은 AMD의 중요한 모습이다<ref>Curcio CA et al. Basal linear deposit and large drusen are specific for early ARM. ''Arch Ophthalmol''. 1999 Mar;117(3):329-39. [https://pubmed.ncbi.nlm.nih.gov/10088810/ 연결]</ref><ref>Zarbin MA. AMD : review of pathogenesis. ''Eur J Ophthalmol''. 1998 Oct-Dec;8(4):199-206. [https://pubmed.ncbi.nlm.nih.gov/9891890/ 연결]</ref>.
=== [[기저판 침착물]] ===
=== [[기저판 침착물]] ===
=== [[기저 선형 침착물]] ===
=== [[기저 선형 침착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