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RPE와 광수용체) |
잔글 (→RPE와 광수용체) |
||
10번째 줄: | 10번째 줄: | ||
=== [[막 부스러기]] === | === [[막 부스러기]] === | ||
=== [[망막 색소상피|RPE]]와 광수용체 === | === [[망막 색소상피|RPE]]와 광수용체 === | ||
지방 갈색소 (lipofuscin) 와 멜라닌-지방 갈색소 복합체 과립은 계속해서 [[망막 색소상피|RPE]]에 축적되고 [[망막 색소상피|RPE]]는 커져서 규칙적인 모양을 잃게 된다. [[망막 색소상피|RPE]] 외부 또는 바닥 표면의 주름이 소실되고 표면적도 줄어들게 된다. 또한 [[망막 색소상피|RPE]]는 [[기저판 침착물]]의 비후와 증가된 [[막 부스러기]]에 의해서 그 바닥막과 점점 분리된다. 마침내 포식 작용의 과부하로 과다 색소 침착된 [[망막 색소상피|RPE]]는 둥글게 되고, 소수의 뭉툭한 꼭대기쪽 미세 융모 (apical microvilli) 만 남는다. 그리고 포식 작용 능력을 잃게 된다. 지방 갈색소는 크고 변성된 [[망막 색소상피|RPE]] 내에 있거나 막에 싸여 떨어져 나간다. 안저 검사에서 색소 이상은 과다 색소 침착과 탈색소 (또는 색소 저하) 로 나눌 수 있다. 국소 과다 색소 침착은 조직학적으로 국소적인 [[망막 색소상피|RPE]] 비대와 관련 있다. [[망막 색소상피|RPE]] 밑 공간, 망막 밑 공간, [[ | 지방 갈색소 (lipofuscin) 와 멜라닌-지방 갈색소 복합체 과립은 계속해서 [[망막 색소상피|RPE]]에 축적되고 [[망막 색소상피|RPE]]는 커져서 규칙적인 모양을 잃게 된다. [[망막 색소상피|RPE]] 외부 또는 바닥 표면의 주름이 소실되고 표면적도 줄어들게 된다. 또한 [[망막 색소상피|RPE]]는 [[기저판 침착물]]의 비후와 증가된 [[막 부스러기]]에 의해서 그 바닥막과 점점 분리된다. 마침내 포식 작용의 과부하로 과다 색소 침착된 [[망막 색소상피|RPE]]는 둥글게 되고, 소수의 뭉툭한 꼭대기쪽 미세 융모 (apical microvilli) 만 남는다. 그리고 포식 작용 능력을 잃게 된다. 지방 갈색소는 크고 변성된 [[망막 색소상피|RPE]] 내에 있거나 막에 싸여 떨어져 나간다. 안저 검사에서 색소 이상은 과다 색소 침착과 탈색소 (또는 색소 저하) 로 나눌 수 있다. 국소 과다 색소 침착은 조직학적으로 국소적인 [[망막 색소상피|RPE]] 비대와 관련 있다. [[망막 색소상피|RPE]] 밑 공간, 망막 밑 공간, [[외핵층]]에서 과다 색소 침착된 세포 무더기와 관련될 수도 있다. 국소 색소 저하는 과다 색소 침착된 세포주 위의 얇아지고 탈색된 [[망막 색소상피|RPE]]와 관련된다. [[망막 색소상피|RPE]]가 죽게 되면 인접한 세포로 포식되고 이 세포는 차례로 지방 갈색소로 채워지게 되고 둥글게 되어, 포식 작용 능력을 잃게 된다. 세포들이 죽게 되면 바로 옆 세포들이 이동해오므로 결과적으로 국소 과다 색소 침착에 인접하여 얇아지고 저색소 침착된 세포가 생겨난다. 마침내 이 세포들이 더 이상 늘어나서 틈을 재울 수 없게 되면 위축이 생겨난다. 따라서 과다 색소 침착은 저색소 침착에 선행하여 발생한다. [[망막 색소상피|RPE]]의 이상은 광수용체 탈락과 동반되며, 이는 결국 [[외핵층]]의 핵 숫자의 감소를 유발한다<ref>Sarks JP et al. Evolution of GA of the RPE. ''Eye (Lond)''. 1988;2 ( Pt 5):552-77. [https://pubmed.ncbi.nlm.nih.gov/2476333/ 연결]</ref>. | ||
=== [[브루크막]], [[맥락막]] === | === [[브루크막]], [[맥락막]]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