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감별 진단) |
잔글 (→감별 진단) |
||
33번째 줄: | 33번째 줄: | ||
=== [[성인 노른자 모양 황반 이상증]] === | === [[성인 노른자 모양 황반 이상증]] === | ||
망막 외층 아래로 노란색의 망막하 소견으로 나타난다. OCT에서는 중심와 아래로 고반사의 돔 형태의 병변이 확인된다. FA 초기에는 과형광으로 둘러싸인 형광 차단 소견을 보이다가 후기에는 노른자 모양 축적이 염색되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양상들은 50세 미만의 젊은 사람들에게 나타나지만, AMD와 관련된 전형적인 드루젠이나 [[망막 색소상피|RPE]]] 이상 소견을 가진 나이든 사람에게도 나타날 수 있다. | 망막 외층 아래로 노란색의 망막하 소견으로 나타난다. OCT에서는 중심와 아래로 고반사의 돔 형태의 병변이 확인된다. FA 초기에는 과형광으로 둘러싸인 형광 차단 소견을 보이다가 후기에는 노른자 모양 축적이 염색되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양상들은 50세 미만의 젊은 사람들에게 나타나지만, AMD와 관련된 전형적인 드루젠이나 [[망막 색소상피|RPE]]] 이상 소견을 가진 나이든 사람에게도 나타날 수 있다. | ||
=== 약물 독성 === | |||
클로로퀸 (hydroxychloroquine) 독성으로 얼룩 모양의 저색소 침착이 생길 수 있고 이는 비지도모양 위축 소견과 비슷하다. Deferoxamine 독성이나 cisplatin에 의해서 [[망막 색소상피|RPE]]가 얼룩덜룩해진 양상도 황반변성으로 오인될 수 있다. 특정 약물 복용의 병력과 큰 드루젠이 없는 것이 감별에 도움이 된다. | |||
=== [[솔스비 안저 이상증 === | |||
TIMP3 유전자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우성 유전을 나타내는 질환이 다.61 초기에는 후극부의 [[망막 색소상피|RPE]]하에 작은 드루젠 같은 침착이나 노란색 물질의 융합된 판으로 나타난다. 이들이 점차 진행하면서 지도상 위축 소견과 비슷한 양상을 나타낼 수 있으며, 40세경에는 양안에 중심와하 맥락막 신생혈관이 발생한다. | |||
== 치료 == | == 치료 == | ||
[[나이관련 황반변성/건성/치료]] 참고 | [[나이관련 황반변성/건성/치료]] 참고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