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OCT) |
||
18번째 줄: | 18번째 줄: | ||
=== [[빛간섭 단층 촬영|OCT]] === | === [[빛간섭 단층 촬영|OCT]] === | ||
고반사도를 띠는 망막 색소 상피층이 브루크막으로부터 들려 있으며 중등도의 반사도를 띄는 공간이 그 사이에 존재하는 모습으로 보인다. 드루젠 위의 광수용체 내외절 경계와 [[외경계막]] 등도 들어 올려져 보이거나 손상되어 보이며 [[외과립층|바깥핵층]]은 좁아져 보인다. 그러나 경성 드루젠은 OCT에서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다. 연성 드루젠이 진행하여 망막 위축이 오면 드루젠을 구성하는 공간은 사라지고 망막 색소 상피의 위축이 관측된다. | 고반사도를 띠는 망막 색소 상피층이 브루크막으로부터 들려 있으며 중등도의 반사도를 띄는 공간이 그 사이에 존재하는 모습으로 보인다. 드루젠 위의 광수용체 내외절 경계와 [[외경계막]] 등도 들어 올려져 보이거나 손상되어 보이며 [[외과립층|바깥핵층]]은 좁아져 보인다. 그러나 경성 드루젠은 OCT에서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다. 연성 드루젠이 진행하여 망막 위축이 오면 드루젠을 구성하는 공간은 사라지고 망막 색소 상피의 위축이 관측된다. | ||
자동화된 알고리즘으로 [[빛간섭 단층 촬영|OCT]]에서 드루젠이 차지하고 있는 범위나 3차원적으로 드루젠의 부피를 측정할 수 있다<ref>Gregori G et al. SD OCT imaging of drusen in nonexudative AMD. ''Ophthalmology''. 2011 Jul;118(7):1373-9. [https://pubmed.ncbi.nlm.nih.gov/21388687/ 연결]</ref>. 주기적으로 측정함으로써 황반부 드루젠의 동적 변화를 높은 신뢰도로 측정할 수 있다. 드루젠의 부피는 점차 늘어나거나 혹은 안정적으로 그대로 유지될 수 있으며, 때로는 감소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감소는 드루젠의 부피가 원래 큰 경우에 더 흔하게 나타난다<ref>Yehoshua Z et al. Natural history of drusen morphology in AMD using SD OCT. ''Ophthalmology''. 2011 Dec;118(12):2434-41. [https://pubmed.ncbi.nlm.nih.gov/21724264/ 연결]</ref>. 드루젠형 색소상피 박리의 경우에도 그 크기가 그대로 유지되기도 하지만 드루젠형 색소상피가 퇴행하기 전에는 오히려 그 크기가 커지는 경우들이 종종 있다. | |||
=== [[안저 자가 형광]] === | === [[안저 자가 형광]] === | ||
드루젠은 자가 형광 물질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안저 자가 형광에서 증가, 감소 정상 자가 형광을 보일 수 있으며, 특히 안저 사진에서 보이는 드루젠이 반드시 안저 자가 형광의 변화를 수반하지는 않아 안저 사진의 변화와 안저 자가 형광 사진의 변화 사이에 연관성은 적다고 생각된다. 증가된 자가 형광의 부위가 반드시 과색소 침착이나 연성 혹은 경성 드루젠의 위치와 일치하지는 않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바닥막 드루젠을 제외하고 드루젠의 크기가 클수록 자가 형광의 이상이 동반될 가능성이 높다. 결정 드루젠은 전형적으로 전형적으로 해당 부위에서 낮은 자가 형광을 보인다. | 드루젠은 자가 형광 물질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안저 자가 형광에서 증가, 감소 정상 자가 형광을 보일 수 있으며, 특히 안저 사진에서 보이는 드루젠이 반드시 안저 자가 형광의 변화를 수반하지는 않아 안저 사진의 변화와 안저 자가 형광 사진의 변화 사이에 연관성은 적다고 생각된다. 증가된 자가 형광의 부위가 반드시 과색소 침착이나 연성 혹은 경성 드루젠의 위치와 일치하지는 않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바닥막 드루젠을 제외하고 드루젠의 크기가 클수록 자가 형광의 이상이 동반될 가능성이 높다. 결정 드루젠은 전형적으로 전형적으로 해당 부위에서 낮은 자가 형광을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