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 대동맥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23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12월 6일 (금)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9번째 줄: 9번째 줄:
가장 흔한 임상 증상은 이들 출혈이나 부종, 삼출 등의 병변이 황반부 등의 중심 시축을 침범하여 발생하는 중심 시력의 저하이다.<br />황반부를 침범하지 않은 경우는 증상이 없을 수 있고, 일상적인 안저 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될 수 있다. 여러 종류의 출혈은 갑작스러운 시력의 저하를 유발하는 흔한 원인이며, 동시에 이 질환을 가지는 환자의 안저 검사에서 자주 발견되는 이상 소견이다. 이들 환자에서의 출혈은 망막하 공간, 망막내, 내경계막 아래, 혹은 유리체 등에서 다양하게 발생할 수 있다. 때로는 <span style='color:blue;'>망막하 출혈과 망막앞 출혈이 동시에 발생하여 '모래시계 모양 출혈(hourglass hemorrhage)'</span>이라고 불리는 전형적인 출혈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삼출과 부종은 황반부를 침범한 경우 서서히 진행하는 시력의 손실을 유발할 수 있다. 병변이 퇴화하면서 Z형의 꼬임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는 안정되었으며 비활성화 되었음을 의미하는 징표로 이용되곤 한다. 동반되어 나타날 수 있는 질환으로 [[망막 분지 동맥 폐쇄]]나 [[망막 분지 정맥 폐쇄]], 과량의 출혈이 동반된 [[황반 원공]], 과량의 유리체 출혈과 동반된 [[폐쇄각 녹내장]] 등이 보고된 바 있따.
가장 흔한 임상 증상은 이들 출혈이나 부종, 삼출 등의 병변이 황반부 등의 중심 시축을 침범하여 발생하는 중심 시력의 저하이다.<br />황반부를 침범하지 않은 경우는 증상이 없을 수 있고, 일상적인 안저 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될 수 있다. 여러 종류의 출혈은 갑작스러운 시력의 저하를 유발하는 흔한 원인이며, 동시에 이 질환을 가지는 환자의 안저 검사에서 자주 발견되는 이상 소견이다. 이들 환자에서의 출혈은 망막하 공간, 망막내, 내경계막 아래, 혹은 유리체 등에서 다양하게 발생할 수 있다. 때로는 <span style='color:blue;'>망막하 출혈과 망막앞 출혈이 동시에 발생하여 '모래시계 모양 출혈(hourglass hemorrhage)'</span>이라고 불리는 전형적인 출혈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삼출과 부종은 황반부를 침범한 경우 서서히 진행하는 시력의 손실을 유발할 수 있다. 병변이 퇴화하면서 Z형의 꼬임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는 안정되었으며 비활성화 되었음을 의미하는 징표로 이용되곤 한다. 동반되어 나타날 수 있는 질환으로 [[망막 분지 동맥 폐쇄]]나 [[망막 분지 정맥 폐쇄]], 과량의 출혈이 동반된 [[황반 원공]], 과량의 유리체 출혈과 동반된 [[폐쇄각 녹내장]] 등이 보고된 바 있따.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
대개 망막 동맥의 첫 3회 분지 이내에서 발생하는 방추상 혹은 주머니 모양의 혈관 확장이다. 많은 경우에서 망막 동맥이 분지되는 부분이나 동맥과 정맥이 교차하는 지점의 망막 동맥에서 관찰되며, 크기는 대개 직경 100~250㎛ 정도이다. 가장 많이 보고되는 부위는 이측 망막이고, 비측 망ㅁ가 동맥이나 모양체망막 동맥, 혹은 시신경 유두 부위에도 드물게 발생할 수 있다.<br />대개 처음 발생 시 급격한 팽창 이후 서서히, 다양한 시간 경과를 가지면서, 혈전 형성과 섬유화를 거치면서 자연적으로 퇴화하는 자연 경과를 보인다. 이 과정에서 동맥류의 망막-혈관 장벽은 손상될 수도 있고, 손상되지 않을 수도 있다. 망막-혈액 장벽이 손상된 경우는 출혈, 삼출 혹은 부종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들 역시 퇴화하는 자연 경과에 따라서 다양한 시간 경과를 거치면서 흡수될 수 있다.
대개 망막 동맥의 첫 3회 분지 이내에서 발생하는 방추상 혹은 주머니 모양의 혈관 확장이다. 많은 경우에서 망막 동맥이 분지되는 부분이나 동맥과 정맥이 교차하는 지점의 망막 동맥에서 관찰되며, 크기는 대개 직경 100~250㎛ 정도이다. 가장 많이 보고되는 부위는 이측 망막이고, 비측 동맥이나 모양체망막 동맥, 혹은 시신경 유두 부위에도 발생할 수 있다<ref>Chew EY, Murphy RP. Acquired retinal macroaneurysms. In:
Schachat A, ed. Retina, 5th ed. Philadelphia: Saunders, 2013; v.2. chap.52</ref>.
 
대개 처음 발생 시 급격한 팽창 이후 서서히, 다양한 시간 경과를 가지면서, 혈전 형성과 섬유화를 거치면서 자연적으로 퇴화하는 자연 경과를 보인다. 이 과정에서 동맥류의 망막-혈관 장벽은 손상될 수도 있고, 손상되지 않을 수도 있다. 망막-혈액 장벽이 손상된 경우는 출혈, 삼출 혹은 부종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들 역시 퇴화하는 자연 경과에 따라서 다양한 시간 경과를 거치면서 흡수될 수 있다.
 
== 검사 및 진단 ==
== 검사 및 진단 ==
* FA : 전형적인 소견은 초기 동맥기에서 동맥류 내부에 형광 충만을 보인다는 점이다. 후기 소견으로는 망막-혈관 장벽의 손상 정도에 따라, 혈관벽에 형광 염색만을 보이는 경우에서 심한 형광 누출을 보이는 경우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 FA : 전형적인 소견은 초기 동맥기에서 동맥류 내부에 형광 충만을 보인다는 점이다. 후기 소견으로는 망막-혈관 장벽의 손상 정도에 따라, 혈관벽에 형광 염색만을 보이는 경우에서 심한 형광 누출을 보이는 경우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