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 (→경과 및 예후) |
잔글 (→역학)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망막 대동맥류 (retinal arterial macroaneurysm; RAMA)'''{{망막}} 는 주로 큰 망막 동맥에서 발생하는 방추상 혹은 주머니 모양의 후천성 혈관 확장이며, 많은 경우에서 고혈압 등의 심혈관 질환을 가진 고령의 환자에서 관찰된다. 1973년 Robertson<ref>Robertson DM. Macroaneurysms of the retinal arteries. ''Trans Am Acad Ophthalmol Otolaryngol''. 1973 Jan-Feb;77(1):OP55-67. [https://pubmed.ncbi.nlm.nih.gov/4730083/ 연결]</ref>은 망막 대혈관류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임상 분류로서의 개념을 처음으로 정립하였다. | '''망막 대동맥류 (retinal arterial macroaneurysm; RAMA)'''{{망막}} 는 주로 큰 망막 동맥에서 발생하는 방추상 혹은 주머니 모양의 후천성 혈관 확장이며, 많은 경우에서 고혈압 등의 심혈관 질환을 가진 고령의 환자에서 관찰된다. 1973년 Robertson<ref>Robertson DM. Macroaneurysms of the retinal arteries. ''Trans Am Acad Ophthalmol Otolaryngol''. 1973 Jan-Feb;77(1):OP55-67. [https://pubmed.ncbi.nlm.nih.gov/4730083/ 연결]</ref>은 망막 대혈관류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임상 분류로서의 개념을 처음으로 정립하였다. | ||
== 역학 == | == 역학 == | ||
<span style='color:blue;'>대부분의 경우는 단안</span>에 발생하나 약 10%에서는 양안에 발생하기도 하고, 다발성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 Beijing Eye Study에 의하면 9,000안 중 1안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연령은 <span style='color:blue;'>60대 이상의 노년층</span>이며, <span style='color:blue;'>여성</span>에서 잘 발생한다. | <span style='color:blue;'>대부분의 경우는 단안</span>에 발생하나 약 10%에서는 양안에 발생하기도 하고, 다발성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 Beijing Eye Study에 의하면 9,000안 중 1안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고되었다<ref>Xu L et al. Frequency of retinal macroaneurysms in adult Chinese : the Beijing Eye Study. ''BJO''. 2007 Jun;91(6):840-1. [https://pubmed.ncbi.nlm.nih.gov/17510482/ 연결]</ref>.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연령은 <span style='color:blue;'>60대 이상의 노년층</span>이며, <span style='color:blue;'>여성</span>에서 잘 발생한다. | ||
== 원인 == | == 원인 == | ||
정확한 병인은 아직 밝혀져 있지 않다. 동맥 경화와 고혈압 등의 심혈관계 질환에 의해서 망막 동맥은 근육층이 감소하여 콜라겐으로 대치되며, 탄력성을 잃고 비대해지는 등의 변화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혈관벽의 구조적 변화가 혈관 내 압력의 증가와 함께 동맥류의 발생에 기여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 외에도 혈관벽의 국소 손상, 혈전 형성, 분지부에서의 혈관의 구조적 결손 등이 관련될 수 있는 원인들로 추정되고 있다. | 정확한 병인은 아직 밝혀져 있지 않다. 동맥 경화와 고혈압 등의 심혈관계 질환에 의해서 망막 동맥은 근육층이 감소하여 콜라겐으로 대치되며, 탄력성을 잃고 비대해지는 등의 변화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혈관벽의 구조적 변화가 혈관 내 압력의 증가와 함께 동맥류의 발생에 기여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 외에도 혈관벽의 국소 손상, 혈전 형성, 분지부에서의 혈관의 구조적 결손 등이 관련될 수 있는 원인들로 추정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