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임상 소견) |
잔글 (→치료) |
||
28번째 줄: | 28번째 줄: | ||
망막하 출혈이나 황반부 삼출성 병변이 오래 지속되는 경우도 있으며, 회복되지 않는 시세포층의 손상을 유발하여 영구적인 시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위험성이 관찰되는 경우 <span style='color:blue;'>동맥류에 직접 혹은 주변부에</span> 레이저 광응고를 시행하여 누출을 감소시키는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레이저 광응고를 시행하는 치료의 적응증이 확립되지 않았고, 치료의 유용성도 아직 입증되지는 않았다. 레이저 시술 후에 동맥류 원위 부에 동맥 폐쇄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황반에 도달하는 동맥의 병변에 레이저 광응고 시행을 고려할 경우에는 주의를 요한다. | 망막하 출혈이나 황반부 삼출성 병변이 오래 지속되는 경우도 있으며, 회복되지 않는 시세포층의 손상을 유발하여 영구적인 시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위험성이 관찰되는 경우 <span style='color:blue;'>동맥류에 직접 혹은 주변부에</span> 레이저 광응고를 시행하여 누출을 감소시키는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레이저 광응고를 시행하는 치료의 적응증이 확립되지 않았고, 치료의 유용성도 아직 입증되지는 않았다. 레이저 시술 후에 동맥류 원위 부에 동맥 폐쇄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황반에 도달하는 동맥의 병변에 레이저 광응고 시행을 고려할 경우에는 주의를 요한다. | ||
최근에 일부 저자들이 RAMA와 동반된 황반 부종을 감소시키기 위해 [[항 혈관내피 성장인자|anti-VEGF]] 유리체강내 주입술을 이용하여 양호하고 안전한 결과를 얻었음을 보고한 바 있다. | 최근에 일부 저자들이 RAMA와 동반된 황반 부종을 감소시키기 위해 [[항 혈관내피 성장인자|anti-VEGF]] 유리체강내 주입술을 이용하여 양호하고 안전한 결과를 얻었음을 보고한 바 있다<ref name=r5 /><ref>문상정 등, 망막 대동맥류에 합병된 황반 부종에서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술의 치료 효과, ''한안지'' 2012;53(4):522-527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7708 연결]</ref>. 한 연구에 의하면 증상이 2개월 이상 지속되었던 RAMA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달 간격으로 3회 [[베바시주맙]] 유리체강 내 주사 치료를 시행한 결과, 12주째 기준으로 유의한 시력 호전과 황반 중심부 두께 감소의 효과가 관찰되었음 보고되었다<ref>Pichi F et al. IVB for macular complications from RAMA. ''AJO''. 2013 Feb;155(2):287-294.e1. [https://pubmed.ncbi.nlm.nih.gov/23111179/ 연결]</ref>. | ||
=== 수술 === | === 수술 === | ||
RAMA의 파열로 과량의 출혈이 발생한 경우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 [[유리체 절제술]]을 시행할 수 있으며, 치료의 결과는 출혈이 존재하는 위치와 정도에 따라서 다양하게 보고된다. 수술 전에 황반부 망막층 아래에 두꺼운 출혈이 존재하였던 경우가 가장 시력 예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렇게 과량의 황반하 출혈을 동반한 RAMA 환자에서는 유리체 절제술과 액체-기체 치환술을 시행하고, 조직 plasminogen 활성제 유리체강내 주입술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치료로 양호한 결과 기대할 수 있다<ref>김동현 등, 망막 동맥 대혈관류 파열로 인한 황반부 출혈에 대한 유리체 절제술 후 임상 결과. ''한안지''. 2010;51(7):961-966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7143 연결]</ref>. | RAMA의 파열로 과량의 출혈이 발생한 경우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 [[유리체 절제술]]을 시행할 수 있으며, 치료의 결과는 출혈이 존재하는 위치와 정도에 따라서 다양하게 보고된다. 수술 전에 황반부 망막층 아래에 두꺼운 출혈이 존재하였던 경우가 가장 시력 예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렇게 과량의 황반하 출혈을 동반한 RAMA 환자에서는 유리체 절제술과 액체-기체 치환술을 시행하고, 조직 plasminogen 활성제 유리체강내 주입술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치료로 양호한 결과 기대할 수 있다<ref>김동현 등, 망막 동맥 대혈관류 파열로 인한 황반부 출혈에 대한 유리체 절제술 후 임상 결과. ''한안지''. 2010;51(7):961-966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7143 연결]</re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