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 (→경과 및 예후) |
잔글 (→검사 및 진단) |
||
19번째 줄: | 19번째 줄: | ||
대개 처음 발생 시 급격한 팽창 이후 서서히, 다양한 시간 경과를 가지면서, 혈전 형성과 섬유화를 거치면서 자연적으로 퇴화하는 자연 경과를 보인다. 이 과정에서 동맥류의 망막-혈관 장벽은 손상될 수도 있고, 손상되지 않을 수도 있다<ref>Moosavi RA et al. RAMA : clinical and FA features in 34 patients. ''Eye (Lond)''. 2006 Sep;20(9):1011-20. [https://pubmed.ncbi.nlm.nih.gov/16138114/ 연결]</ref><ref name=r4 />. 망막-혈액 장벽이 손상된 경우는 출혈, 삼출 혹은 부종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삼출물들은 대동맥류가 퇴화하면서 점차 흡수될 수 있다. | 대개 처음 발생 시 급격한 팽창 이후 서서히, 다양한 시간 경과를 가지면서, 혈전 형성과 섬유화를 거치면서 자연적으로 퇴화하는 자연 경과를 보인다. 이 과정에서 동맥류의 망막-혈관 장벽은 손상될 수도 있고, 손상되지 않을 수도 있다<ref>Moosavi RA et al. RAMA : clinical and FA features in 34 patients. ''Eye (Lond)''. 2006 Sep;20(9):1011-20. [https://pubmed.ncbi.nlm.nih.gov/16138114/ 연결]</ref><ref name=r4 />. 망막-혈액 장벽이 손상된 경우는 출혈, 삼출 혹은 부종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삼출물들은 대동맥류가 퇴화하면서 점차 흡수될 수 있다. | ||
* FA : 전형적인 소견은 초기 동맥기에서 동맥류 내부에 형광 충만을 보인다는 점이다. 후기 소견으로는 망막-혈관 장벽의 손상 정도에 따라, 혈관벽에 형광 염색만을 보이는 경우에서 심한 형광 누출을 보이는 경우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 * FA : 전형적인 소견은 초기 동맥기에서 동맥류 내부에 형광 충만을 보인다는 점이다. 후기 소견으로는 망막-혈관 장벽의 손상 정도에 따라, 혈관벽에 형광 염색만을 보이는 경우에서 심한 형광 누출을 보이는 경우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 ||
* ICGA : 두꺼운 출혈에 둘러싸여 동맥류의 확인이 어려우며 FA에서도 형광 차단을 보이는 경우에 진단에 유용하다. 특히 동맥 혈관벽에 연속된 병변이 박동을 보일 경우 망막 대동맥류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것 | * ICGA : 두꺼운 출혈에 둘러싸여 동맥류의 확인이 어려우며 FA에서도 형광 차단을 보이는 경우에 진단에 유용하다. 특히 동맥 혈관벽에 연속된 병변이 박동을 보일 경우 망막 대동맥류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것 | ||
== 감별 진단 == | == 감별 진단 == | ||
[[망막 분지정맥 폐쇄|BRVO]]나 [[당뇨 망막병증]], [[방사선 망막병증]], 모세혈관 확장증 등 다른 망막 혈관 질환에서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혈관류와 감별해야 한다. 또한 망막하 출혈이 황반부에 위치한 경우는 [[나이관련 황반변성]]과 유사한 모습을 보일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망막 색소상피 아래에 축적된 과량의 출혈을 동반한 경우는 흑색종이나 해면 혈관종으로 오인될 가능성이 있다. [[코우츠병]]이나 [[폰 힙펠-린도우 병]] 역시 망막 대동맥류와 유사한 양상을 보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망막 분지정맥 폐쇄|BRVO]]나 [[당뇨 망막병증]], [[방사선 망막병증]], 모세혈관 확장증 등 다른 망막 혈관 질환에서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혈관류와 감별해야 한다. 또한 망막하 출혈이 황반부에 위치한 경우는 [[나이관련 황반변성]]과 유사한 모습을 보일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망막 색소상피 아래에 축적된 과량의 출혈을 동반한 경우는 흑색종이나 해면 혈관종으로 오인될 가능성이 있다. [[코우츠병]]이나 [[폰 힙펠-린도우 병]] 역시 망막 대동맥류와 유사한 양상을 보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