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지형학적 분류)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 지형학적 분류 == | == 지형학적 분류 == | ||
* [[중심와]] (fovea) | * [[중심와]] (fovea) | ||
* 중심와부근 (parafovea) : 중심와 주변의 0.5mm 두께의 환상의 영역이다. 주변부로 밀려난 [[양극세포]], 신경절세포 등이 모여 있어, 망막에서 이들 세포의 밀도가 가장 높은 부위로, [[내과립층]]은 약 12개의 세포 두께를 보이며, 신경절 세포층은 약 7개의 세포 두께를 보인다. | * 중심와부근 (parafovea) : 중심와 주변의 0.5mm 두께의 환상의 영역이다. 주변부로 밀려난 [[양극세포]], 신경절세포 등이 모여 있어, 망막에서 이들 세포의 밀도가 가장 높은 부위로, [[내과립층]]은 약 12개의 세포 두께를 보이며, 신경절 세포층은 약 7개의 세포 두께를 보인다<ref>Bringmann A et al. The primate fovea : Structure, function and development. ''Prog Retin Eye Res''. 2018 Sep;66:49-84. [https://pubmed.ncbi.nlm.nih.gov/29609042/ 연결]</ref><ref>Polyak S. The vertebrate visual system.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7</ref>. | ||
* 중심와주위 (perifovea) : 중심와부근 바깥쪽 영역 | * 중심와주위 (perifovea) : 중심와부근 바깥쪽 영역 | ||
=== 용어의 혼용 === | === 용어의 혼용 === | ||
조직학적 관점에서의 중심와를 임상의들은 주로 황반이라고 부르며, 조직학적 관점에서의 중심소와를 임상의들은 중심와라고 부른다. 황반은 임상에서만 사용하는 용어로, 대개는 시신경유두 정도 크기의 주변에 비해 어두운 중심부 망막을 가리키며, 이 황반의 중심을 임상에서는 중심와라고 부른다. 이러한 중심부 망막은 임상에서는 후극부 (posterior pole) 라고 부르기도 하며, 이에 대한 명확한 정의는 아직 정해진 것이 없고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서 다를 수 있다. | 조직학적 관점에서의 중심와를 임상의들은 주로 황반이라고 부르며, 조직학적 관점에서의 중심소와를 임상의들은 중심와라고 부른다. 황반은 임상에서만 사용하는 용어로, 대개는 시신경유두 정도 크기의 주변에 비해 어두운 중심부 망막을 가리키며, 이 황반의 중심을 임상에서는 중심와라고 부른다. 이러한 중심부 망막은 임상에서는 후극부 (posterior pole) 라고 부르기도 하며, 이에 대한 명확한 정의는 아직 정해진 것이 없고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서 다를 수 있다. | ||
== 황반의 노화 == | == 황반의 노화 == | ||
[[황반/노화]] 참고 | [[황반/노화]] 참고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