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간 포도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1,717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12월 9일 (월)
잔글
잔글 (→‎역학)
잔글 (→‎병인)
15번째 줄: 15번째 줄:
유전되지는 않으나, 가족력이 있을 수 있다. 사람의 조직 적합성 항원 연구 결과, 몇몇 가족에서 HLA-DR2/DQw1과 같은 항원과의 연관성이 밝혀졌다. 최근 밝혀진 제 2형 조직 적합성 항원은 HLA-DR15, DR51, DR17이다. HLA-DR15를 가지고 있는 경우, 연관된 다른 질환인 다발성 경화증, 시신경염, 발작성 수면 등의 전신 증세가 함께 나타나기도 한다. HLA-B28은 중간 포도막염과 함께 관절통 및 보체 결핍증의 발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유전되지는 않으나, 가족력이 있을 수 있다. 사람의 조직 적합성 항원 연구 결과, 몇몇 가족에서 HLA-DR2/DQw1과 같은 항원과의 연관성이 밝혀졌다. 최근 밝혀진 제 2형 조직 적합성 항원은 HLA-DR15, DR51, DR17이다. HLA-DR15를 가지고 있는 경우, 연관된 다른 질환인 다발성 경화증, 시신경염, 발작성 수면 등의 전신 증세가 함께 나타나기도 한다. HLA-B28은 중간 포도막염과 함께 관절통 및 보체 결핍증의 발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 병인 ==
== 병인 ==
발병하는 원인은 밝혀지지 않는 경우가 많으나, [[다발 경화증]], 특발성 [[시신경염]], 자가면역성 각막 내피세포병증, [[사르코이드증]], 갑상선 질환, 염증성 장질환과 같은 증후군과 함께 나타나기도 한다.
발병하는 원인은 밝혀지지 않는 경우가 많으나, [[다발 경화증]], 특발성 [[시신경염]], 자가면역성 각막 내피세포병증, [[사르코이드증]], 갑상선 질환, 염증성 장질환과 같은 증후군과 함께 나타나기도 한다<ref name=r5 />.
 
여러 연관성으로 미루어 볼 때, 중간 포도막염의 병인에 자가 면역이 관여한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특히, [[평면부염]]의 경우, 자가 면역이 관여할 것으로 예측되지만 관련 항원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Bora 등<ref>Bora NS et al. Molecular cloning, sequencing, and expression of the 36 kDa protein present in pars planitis. Sequence homology with yeast nucleopore complex protein. ''IOVS''. 1996 Aug;37(9):1877-83. [https://pubmed.ncbi.nlm.nih.gov/8759357/ 연결]</ref>은 평면부염 환자에서 36 kDa 핵공 복합 단백질 (nucleopore complex protein) 이 6~8배 높게 측정되었다고 보고하였고, 이 단백질이 염증세포 증식 및 자가 항체 형성에 관여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Wetzig 등<ref>Wetzig RP et al. Clinical and immunopathological studies of pars planitis in a family. ''BJO''. 1988 Jan;72(1):5-10. [https://pubmed.ncbi.nlm.nih.gov/3257703/ 연결]</ref>은 면역조직학적 검사에서는 눈더미에 CD4+ T림프구와 대식세포가 많이 관찰된다고 하였다. 또한 포도막염 환자는 대조군에 비해 interleukin 8 (IL-8)<ref>Klok AM, Luyendijk L, Zaal MJ, Rothova A, Hack CE, Kijlstra A. Elevated serum IL-8 levels are a/w disease activity in idiopathic intermediate uveitis. ''BJO''. 1998 Aug;82(8):871-4. [https://pubmed.ncbi.nlm.nih.gov/9828768/ 연결]</ref>, soluble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 1<ref>Klok AM et al. Soluble ICAM-1 serum levels in patients w intermediate uveitis. ''BJO''. 1999 Jul;83(7):847-51. [https://pubmed.ncbi.nlm.nih.gov/10381673/ 연결]</ref> 증가가 관찰되며, IL-8 증가는 염증 활동과도 관련된다.


== 병태 생리 ==
== 병태 생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