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분류) |
잔글 (→임상 소견) |
||
26번째 줄: | 26번째 줄: | ||
* 혈관증식형 (vasculoproliferative) : 혈관의 변화가 특징적인데, 현저한 혈관초 형성, 혈관주위 침윤, 주변 망막 혈관의 부분적 막힘 등이 병의 경과 중 초기에, 다소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 신생 혈관은 유리체 기저부에서 또는 기저부 밖에서 발생할 수 있다. | * 혈관증식형 (vasculoproliferative) : 혈관의 변화가 특징적인데, 현저한 혈관초 형성, 혈관주위 침윤, 주변 망막 혈관의 부분적 막힘 등이 병의 경과 중 초기에, 다소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 신생 혈관은 유리체 기저부에서 또는 기저부 밖에서 발생할 수 있다. | ||
== 임상 소견 == | == 임상 소견 == | ||
환자들은 흔히 흐려 보임, 날파리증, 중심시력의 왜곡 등의 주소로 병원을 찾게 되는 경우가 많고, 별다른 증상이 없는 경우도 종종 있다. 증상은 대개 서서히 나타나며, 충혈, 동통, 눈부심 등은 중간 포도막염에서는 드물다. 약 80%의 환자들이 초진 시나 경과 관찰 중 양안에 질환이 나타나지만, 대개 증상은 한 눈에서만 나타나고 다른 눈에서는 임상적으로 미약한 염증이나, 몇몇 경우에서 약간의 황반 부종을 관찰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한 눈에 임상적으로 증상이 있는 포도막염이 나타났다면 다른 눈을 면밀히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 |||
전형적인 중간 포도막염은 임상적으로 비교적 염증이 없는 전안부, 유리체내 세포의 현저한 증가, 아래쪽 유리체강내 눈덩이라 불리는 염증 침착물, 망막 정맥주위염, 자주 발생하는 낭포 황반 부종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한편, 비전형적인 형태를 보이는 경우에는 비교적 임상 경과가 양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세극등 검사에서 전안부에는 대개 염증 세포나 전방 흐림이 없거나 1+ 이하로 약간만 존재한다. 각막 후면 침전물이 보이는 경우는 드물지만 홍채후 유착은 있을 수 있으며 대개 아래쪽에 나타난다. 중간 포도막염에서의 특징은 유리체의 염증인데, 유리체내 염증 세포와 유리체 흐림 은 미량(0.5+)에서 4+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22 | |||
== 조직병리 == | == 조직병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