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간 포도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96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12월 9일 (월)
잔글
잔글 (→‎FA)
잔글 (→‎분류)
21번째 줄: 21번째 줄:
== 분류 ==
== 분류 ==
* 염증이 산재된 (diffuse inflammatory) 형태 : 먼지와 같은 유리체 혼탁이 주로 아래쪽 유리체강 내에 존재하는 형태로, 눈덩이 형태의 침착물이 유체강이나 평면부에 존재하더라도 눈더미와 같은 상당한 양의 삼출물이 없는 형태이다.
* 염증이 산재된 (diffuse inflammatory) 형태 : 먼지와 같은 유리체 혼탁이 주로 아래쪽 유리체강 내에 존재하는 형태로, 눈덩이 형태의 침착물이 유체강이나 평면부에 존재하더라도 눈더미와 같은 상당한 양의 삼출물이 없는 형태이다.
# 장액형 (serous form) : 평면부에 아무런 이상도 없는 형태
** 장액형 (serous form) : 평면부에 아무런 이상도 없는 형태
# 염증 침윤형 (infiltrative form) : 평면부가 침범된 형태
** 염증 침윤형 (infiltrative form) : 평면부가 침범된 형태
이 두 가지 형태 모두 삼출형으로 진행할 수 있다.
* 삼출형 (exudative) : 심하고 서로 융합된 형태의 삼출물이 섬모체 평면부나 망막 톱니둘레에 존재하는 형태이다. 이런 주변부의 심한 삼출 조직은 망막의 아주 가쪽에서 유리체 내로 손가락 형태로 뻗어나올 수 있다. 만일 후유리체 박리가 존재한다면 유리체 후면이나 주변부 망막에도 삼출물이 있을 수 있지만 수정체 후면에 삼출물이 보이는 경우는 드물다.
* 삼출형 (exudative) : 심하고 서로 융합된 형태의 삼출물이 섬모체 평면부나 망막 톱니둘레에 존재하는 형태이다. 이런 주변부의 심한 삼출 조직은 망막의 아주 가쪽에서 유리체 내로 손가락 형태로 뻗어나올 수 있다. 만일 후유리체 박리가 존재한다면 유리체 후면이나 주변부 망막에도 삼출물이 있을 수 있지만 수정체 후면에 삼출물이 보이는 경우는 드물다.
* 혈관증식형 (vasculoproliferative) : 혈관의 변화가 특징적인데, 현저한 혈관초 형성, 혈관주위 침윤, 주변 망막 혈관의 부분적 막힘 등이 병의 경과 중 초기에, 다소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 신생 혈관은 유리체 기저부에서 또는 기저부 밖에서 발생할 수 있다.
* 혈관증식형 (vasculoproliferative) : 혈관의 변화가 특징적인데, 현저한 혈관초 형성, 혈관주위 침윤, 주변 망막 혈관의 부분적 막힘 등이 병의 경과 중 초기에, 다소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 신생 혈관은 유리체 기저부에서 (intrabasal) 또는 기저부 밖에서 (juxtabasal) 발생할 수 있다.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
환자들은 흔히 흐려 보임, 날파리증, 중심시력의 왜곡 등의 주소로 병원을 찾게 되는 경우가 많고, 별다른 증상이 없는 경우도 종종 있다. 증상은 대개 서서히 나타나며, 충혈, 동통, 눈부심 등은 중간 포도막염에서는 드물다. 약 80%의 환자들이 초진 시나 경과 관찰 중 양안에 질환이 나타나지만, 대개 증상은 한 눈에서만 나타나고 다른 눈에서는 임상적으로 미약한 염증이나, 몇몇 경우에서 약간의 황반 부종을 관찰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한 눈에 임상적으로 증상이 있는 포도막염이 나타났다면 다른 눈을 면밀히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환자들은 흔히 흐려 보임, 날파리증, 중심시력의 왜곡 등의 주소로 병원을 찾게 되는 경우가 많고, 별다른 증상이 없는 경우도 종종 있다. 증상은 대개 서서히 나타나며, 충혈, 동통, 눈부심 등은 중간 포도막염에서는 드물다. 약 80%의 환자들이 초진 시나 경과 관찰 중 양안에 질환이 나타나지만, 대개 증상은 한 눈에서만 나타나고 다른 눈에서는 임상적으로 미약한 염증이나, 몇몇 경우에서 약간의 황반 부종을 관찰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한 눈에 임상적으로 증상이 있는 포도막염이 나타났다면 다른 눈을 면밀히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