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분류) |
잔글 (→임상 소견) |
||
34번째 줄: | 34번째 줄: | ||
세극등 검사에서 전안부에는 대개 염증 세포나 전방 흐림이 없거나 1+ 이하로 약간만 존재한다. 각막 후면 침전물이 보이는 경우는 드물지만 홍채후 유착은 있을 수 있으며 대개 아래쪽에 나타난다. 중간 포도막염에서의 특징은 유리체의 염증인데, 유리체내 염증 세포와 유리체 흐림은 미량 (0.5+) 에서 4+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ref>Madow B et al. Validation of a photographic vitreous haze grading technique for clinical trials in uveitis. ''AJO''. 2011 Aug;152(2):170-176.e1. [https://pubmed.ncbi.nlm.nih.gov/21652026/ 연결]</ref>. | 세극등 검사에서 전안부에는 대개 염증 세포나 전방 흐림이 없거나 1+ 이하로 약간만 존재한다. 각막 후면 침전물이 보이는 경우는 드물지만 홍채후 유착은 있을 수 있으며 대개 아래쪽에 나타난다. 중간 포도막염에서의 특징은 유리체의 염증인데, 유리체내 염증 세포와 유리체 흐림은 미량 (0.5+) 에서 4+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ref>Madow B et al. Validation of a photographic vitreous haze grading technique for clinical trials in uveitis. ''AJO''. 2011 Aug;152(2):170-176.e1. [https://pubmed.ncbi.nlm.nih.gov/21652026/ 연결]</ref>. | ||
* 눈덩이 : 전형적인 연노란색의 둥근 염증 침착물인데, 유리체강내 중간 및 아래쪽에서 주로 관찰된다. 박 등<ref name=r13 />은 명확한 눈덩이를 동반한 중간 포도막염의 임상 양상을 알아보니, 눈덩이가 83.6%에서 아래쪽 에 위치하였고, 남자에서 더 많이 관찰되면서 양안 침범은 36.7% 였다고 보고하였다. | * 눈덩이 (snowball) : 전형적인 연노란색의 둥근 염증 침착물인데, 유리체강내 중간 및 아래쪽에서 주로 관찰된다. 박 등<ref name=r13 />은 명확한 눈덩이를 동반한 중간 포도막염의 임상 양상을 알아보니, 눈덩이가 83.6%에서 아래쪽 에 위치하였고, 남자에서 더 많이 관찰되면서 양안 침범은 36.7% 였다고 보고하였다. | ||
* 눈더미 : 섬모체 평면부에 위치 하는 회백색 섬유막인데, 주로 아래쪽에 존재하나 망막 주변부를 따라 360도 모두에서 관찰될 수도 있대. 눈더미는 이 질환의 전형적인 특징인데, 이것이 관찰되는 경우와 그 정도가 심한 경우는 중간 포도막염이 보다 심각한 형태로 진행되었음을 뜻하므로 보다 적극적인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병이 진행되면 신생혈관 요소가 함유된 섬유 막으로 변하여 [[유리체 출혈]]이나 [[망막 박리]]가 발생하기도 한다. | * 눈더미 (snowbank) : 섬모체 평면부에 위치 하는 회백색 섬유막인데, 주로 아래쪽에 존재하나 망막 주변부를 따라 360도 모두에서 관찰될 수도 있대. 눈더미는 이 질환의 전형적인 특징인데, 이것이 관찰되는 경우와 그 정도가 심한 경우는 중간 포도막염이 보다 심각한 형태로 진행되었음을 뜻하므로 보다 적극적인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병이 진행되면 신생혈관 요소가 함유된 섬유 막으로 변하여 [[유리체 출혈]]이나 [[망막 박리]]가 발생하기도 한다. | ||
주변부 혈관염 및 혈관초 형성이 망막에서 관찰될 수 있는데, 주변부 정맥주위염이 두드러지는 경우에는 다발성 경화증이나 시신경염을 동반할 가능성이 높다<ref>Malinowski SM et al. Long-term visual outcome and complications a/w pars planitis. ''Ophthalmology''. 1993 Jun;100(6):818-24; discussion 825. [https://pubmed.ncbi.nlm.nih.gov/8510893/ 연결]</ref>. 폐쇄된 혈관 주위로 신생혈관이 발생하게 되면 유리체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 부종이나 황반 부종이 혼하게 발생하여, 이는 시력 저하의 주요한 원인이 된다. | 주변부 혈관염 및 혈관초 형성이 망막에서 관찰될 수 있는데, 주변부 정맥주위염이 두드러지는 경우에는 다발성 경화증이나 시신경염을 동반할 가능성이 높다<ref>Malinowski SM et al. Long-term visual outcome and complications a/w pars planitis. ''Ophthalmology''. 1993 Jun;100(6):818-24; discussion 825. [https://pubmed.ncbi.nlm.nih.gov/8510893/ 연결]</ref>. 폐쇄된 혈관 주위로 신생혈관이 발생하게 되면 유리체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 부종이나 황반 부종이 혼하게 발생하여, 이는 시력 저하의 주요한 원인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