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간 포도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10 바이트 제거됨 ,  2024년 12월 9일 (월)
잔글
잔글 (→‎분류)
잔글 (→‎분류)
20번째 줄: 20번째 줄:


== 분류 ==
== 분류 ==
Boke<ref>Böke W. Clinical picture of intermediate uveitis. ''Dev Ophthalmol''. 1992;23:20-7. [https://pubmed.ncbi.nlm.nih.gov/1730358/ 연결]</ref>는 1992년, 중간 포도막염을 임상 양상에 따라 분류하였다.
Boke<ref>Böke W. Clinical picture of intermediate uveitis. ''Dev Ophthalmol''. 1992;23:20-7. [https://pubmed.ncbi.nlm.nih.gov/1730358/ 연결]</ref>는 1992년, 중간 포도막염을 임상 양상에 따라 분류하였고, Slezak<ref>Slezak H et al, Pathogenese und Differentialdiagnose der peripheren Uveitis [On the clinical aspects, pathogenesis and differential diagnosis of peripheral uveitis]. ''Albrecht Von Graefes Arch Klin Exp Ophthalmol''. 1967;174(1):9-33. German. [https://pubmed.ncbi.nlm.nih.gov/5301793/ 연결]</ref>는 염증이 산재된 형태를 다시 두 가지로 분류하였다.
* 염증이 산재된 (diffuse inflammatory) 형태 : 먼지와 같은 유리체 혼탁이 주로 아래쪽 유리체강 내에 존재하는 형태로, 눈덩이 형태의 침착물이 유체강이나 평면부에 존재하더라도 눈더미와 같은 상당한 양의 삼출물이 없는 형태이다.
* 염증이 산재된 (diffuse inflammatory) 형태 : 먼지와 같은 유리체 혼탁이 주로 아래쪽 유리체강 내에 존재하는 형태로, 눈덩이 형태의 침착물이 유체강이나 평면부에 존재하더라도 눈더미와 같은 상당한 양의 삼출물이 없는 형태이다.
Slezak<ref>Slezak H et al, Pathogenese und Differentialdiagnose der peripheren Uveitis [On the clinical aspects, pathogenesis and differential diagnosis of peripheral uveitis]. ''Albrecht Von Graefes Arch Klin Exp Ophthalmol''. 1967;174(1):9-33. German. [https://pubmed.ncbi.nlm.nih.gov/5301793/ 연결]</ref>는 염증이 산재된 형태를 다시 아래의 두 가지로 분류하였다.
** 장액형 (serous form) : 평면부에 아무런 이상도 없는 형태
** 장액형 (serous form) : 평면부에 아무런 이상도 없는 형태
** 염증 침윤형 (infiltrative form) : 평면부가 침범된 형태
** 염증 침윤형 (infiltrative form) : 평면부가 침범된 형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