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단안 포도막염) |
잔글 (→단안 포도막염) |
||
72번째 줄: | 72번째 줄: | ||
감염성 원인이 배제되면, 포도막염의 일차적 치료 선택은 스테로이드이다. 동반된 전신 질환이 있다면 내과와 협의하여 그 질환에 대한 치료가 우선되어야 한다. 전신 질환이 없는 비감염성 단안 증간 포도막염은 전신 스테로이드 치료로 시작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눈주위 스테로이드 주사로 치료를 시작하며, 우선 40 mg/mL 트리암시놀론 후테논낭하 주사 0.1 mL 를 실시한다. 만약 3~4주 후에도 치료 반응이 미약할 경우 추가로 후테논낭하 주사를 시행하거나, 녹내장이 없는 인공수정체안의 경우에는 트리암시놀론 유리체내 주사를 시행할 수 있다. | 감염성 원인이 배제되면, 포도막염의 일차적 치료 선택은 스테로이드이다. 동반된 전신 질환이 있다면 내과와 협의하여 그 질환에 대한 치료가 우선되어야 한다. 전신 질환이 없는 비감염성 단안 증간 포도막염은 전신 스테로이드 치료로 시작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눈주위 스테로이드 주사로 치료를 시작하며, 우선 40 mg/mL 트리암시놀론 후테논낭하 주사 0.1 mL 를 실시한다. 만약 3~4주 후에도 치료 반응이 미약할 경우 추가로 후테논낭하 주사를 시행하거나, 녹내장이 없는 인공수정체안의 경우에는 트리암시놀론 유리체내 주사를 시행할 수 있다. | ||
만약 활동성 염증의 소견 없이 [[낭포 황반부종|CME]]만 뚜렷이 관찰될 경우에는 눈 주위 또는 유리체내 스테로이드 주사 전, 점안 스테로이드와 점안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복합 치료를 먼저 시도해볼 수 있다<ref>Hogewind BF. Intravitreal triamcinolone for the treatment of refractory ME in idiopathic intermediate or posterior uveitis. ''Eur J Ophthalmol''. 2008 May-Jun;18(3):429-34. [https://pubmed.ncbi.nlm.nih.gov/18465727/ 연결]</ref>. 점안 difluprednate는 아주 효과적이나, 점안 프레드니솔론에 비해 안압상승이 발생할 확률이 높으며, 한 연구<ref>Slabaugh MA et al. Efficacy and potential complications of difluprednate use for pediatric uveitis. ''AJO''. 2012 May;153(5):932-8. [https://pubmed.ncbi.nlm.nih.gov/22265149/ 연결]</ref>에 따르면 소아 포도막염 환자의 약 50%에서 안압 상승이 발생하였다고 보고하였다. [[anti-VEGF]] 유리체내 주사도 고려해볼 수 있지만, 포도막염에 동반된 [[낭포 황반부종|CME]]의 치료로 베바시주맙과 트리암시놀론 유리체내 주사를 비교한 연구에서, 백내장 진행에 대한 합병증을 제외하면 | 만약 활동성 염증의 소견 없이 [[낭포 황반부종|CME]]만 뚜렷이 관찰될 경우에는 눈 주위 또는 유리체내 스테로이드 주사 전, 점안 스테로이드와 점안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복합 치료를 먼저 시도해볼 수 있다<ref>Hogewind BF. Intravitreal triamcinolone for the treatment of refractory ME in idiopathic intermediate or posterior uveitis. ''Eur J Ophthalmol''. 2008 May-Jun;18(3):429-34. [https://pubmed.ncbi.nlm.nih.gov/18465727/ 연결]</ref>. 점안 difluprednate는 아주 효과적이나, 점안 프레드니솔론에 비해 안압상승이 발생할 확률이 높으며, 한 연구<ref>Slabaugh MA et al. Efficacy and potential complications of difluprednate use for pediatric uveitis. ''AJO''. 2012 May;153(5):932-8. [https://pubmed.ncbi.nlm.nih.gov/22265149/ 연결]</ref>에 따르면 소아 포도막염 환자의 약 50%에서 안압 상승이 발생하였다고 보고하였다. [[anti-VEGF]] 유리체내 주사도 고려해볼 수 있지만, 포도막염에 동반된 [[낭포 황반부종|CME]]의 치료로 베바시주맙과 트리암시놀론 유리체내 주사를 비교한 연구에서, 백내장 진행에 대한 합병증을 제외하면 트리암시놀론 군에서 최종시력 향상과 황반 두께 감소에 더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ref>Soheilian M et al. IVB vs TA for refractory uveitic CME : a randomized pilot study. ''J Ocul Pharmacol Ther''. 2010 Apr;26(2):199-206. [https://pubmed.ncbi.nlm.nih.gov/20307215/ 연결]</ref>. 눈 주위 또는 유리체내 스테로이드 주사에 좋은 반응을 보이나, 1년에 3번 이상 염증이 자주 재발하는 경우에는 유리체내 스테로이드 삽입물 | ||
* Retisert® (fluocinolone acetonide sustained drug delivery) | * Retisert® (fluocinolone acetonide sustained drug delivery) | ||
* Ozurdex® (dexamethasone intravitreal insert) | * Ozurdex® (dexamethasone intravitreal inser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