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간 포도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103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12월 9일 (월)
잔글
79번째 줄: 79번째 줄:
지속적인 스테로이드 주사에도 치료 반응이 없을 경우에는 진단적, 치료적 [[유리체 절제술]]을 시행한다. 눈더미가 관찰된다면, 냉동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주변부 망막 신생혈관이 관찰되면, [[레이저 광응고]]를 시행한다.
지속적인 스테로이드 주사에도 치료 반응이 없을 경우에는 진단적, 치료적 [[유리체 절제술]]을 시행한다. 눈더미가 관찰된다면, 냉동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주변부 망막 신생혈관이 관찰되면, [[레이저 광응고]]를 시행한다.
=== 유리체 절제술 ===
=== 유리체 절제술 ===
치료적 유리체 절제술의 적응증은 만성적이고 심한 염증. 지속되는 [[낭포 황반부종|CME]], 오래된 유리체 혼탁이나 심한 [[유리체 출혈]], 견인 또는 열공 망막박리와 [[망막앞막]]이다. 유리체 절제술을 시행함으로써 매질의 혼탁을 줄이고, 전방 및 유리체의 염증에 관련된 매개체를 제거하며, 술 후 항염증 약물의 투과를 증진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는 최종 시력의 향상과 [[낭포 황반부종|CME]]의 감소에 도움을 준다<ref>Becker M et al. Vitrectomy in the treatment of uveitis. ''AJO''. 2005 Dec;140(6):1096-105. [https://pubmed.ncbi.nlm.nih.gov/16376658/ 연결]</ref><ref>Verbraeken H. Therapeutic PPV for chronic uveitis : a retrospective study of the long-term results.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1996 May;234(5):288-93. [https://pubmed.ncbi.nlm.nih.gov/8740248/ 연결]</ref>. 그 외에도 망막 주변부와 후극부를 연결하는 견인을 제거할 수 있고,앞쪽 [[증식 유리체망막병증]]의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고,망막 열공, 섬유혈관막, 신생혈관을 찾아서 직접 치료할 수 있고,만성 염증에 의한 [[낭포 황반부종|CME]]을 치료하여 유리체 및 망막의 형태를 바로잡고, 필요한 유리체 표본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중간 포도막염을 가장하는 다른 질환을 감별하기 위해 진단적 유리체 절제술을 시행할 수 있다. 진단적 유리체 절제술은 임상적으로 종양이나 세균성, 진균성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에 적응이 되며, 특히 안내 림프종을 진단하는데 있어 유용하다<ref>Levy-Clarke GA et al. Diagnosis and management of primary intraocular lymphoma. ''Hematol Oncol Clin North Am''. 2005 Aug;19(4):739-49, viii. [https://pubmed.ncbi.nlm.nih.gov/16083834/ 연결]</ref>. 유리체 표본으로부터 배양이나 세포 검사, 사이토카인 검사,중합효소 연쇄 반응 (polymerase chain reaction) 등을 검사하여 감별 진단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참고}}
{{참고}}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