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간 포도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 바이트 제거됨 ,  2024년 12월 11일 (수)
잔글
81번째 줄: 81번째 줄:
양안을 침범한 경우에는 경구 스테로이드를 복용한다. 경구 프레드니솔론을 하루 1.0 mg/kg으로 시작하여 적어도 2주간 사용한 후, 이후 임상 경과에 따라 한 주에 10mg씩 줄여나가, 최소의 유지 용량을 약 2개월까지 사용한다.
양안을 침범한 경우에는 경구 스테로이드를 복용한다. 경구 프레드니솔론을 하루 1.0 mg/kg으로 시작하여 적어도 2주간 사용한 후, 이후 임상 경과에 따라 한 주에 10mg씩 줄여나가, 최소의 유지 용량을 약 2개월까지 사용한다.


10 mg 이상의 경구 스테로이드를 4개월 이상 유지하는 경우 및 장기간의 스테로이드 사용이 성장 지연을 일으킬 수 있는 소아의 경우에는 면역 억제제를 고려해 볼 수 있다. 만약 면역 억제제의 전신 부작용에 취약한 경우에는 내과에 의뢰하여 치료하는 것이 좋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약제는 메토트렉세이트 (methotrexate) 로 [[사르코이드증]]과 관련된 중간 포도막염 및 전체 포도막염에 효과가 뛰어나다. 용량은 치료 반응 및 내약성에 따라 12.5~15 mg/w 의 용량으로 시작하여 25 mg까지 증량 가능하고, 엽산 1 mg/d 와 함께 복용한다. 소아에서 비교적 안전하여 주로 첫 치료로 사용되며, 짧은 기간 동안 스테로이드와 병합 치료 후 단독으로 유지한다. 태아 기형 및 유산을 일으킬 수 있어 임산부에서는 금기이다. 가장 흔한 부작용은 구역, 구토 및 구내염이다. 위장관 장애로 경구ㅡ복용이 힘든 경우 근육내 주사나 피하 주사로 투여 가능하다. 또 다른 부작용으로는 간 독성, 혈구 감소증 및 간질성 폐렴이 있다. 치료 시작 전 간기능 검사 및 일반 혈액검사를 시행해야 하며, 치료 후에는 8~12주 간격으로 추적 검사를 시행한다. 2번의 추적 검사에서 AST나 ALT 수치가 정상치의 2배 이상 상승하면 반드시 용량을 감소해야 하며, 정상치의 2배 미만으로 상승하는 경우라도 용량을 감소하는 것이 좋다.
10 mg 이상의 경구 스테로이드를 4개월 이상 유지하는 경우 및 장기간의 스테로이드 사용이 성장 지연을 일으킬 수 있는 소아의 경우에는 면역 억제제를 고려해 볼 수 있다. 만약 면역 억제제의 전신 부작용에 취약한 경우에는 내과에 의뢰하여 치료하는 것이 좋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약제는 메토트렉세이트 (methotrexate) 로 [[사르코이드증]]과 관련된 중간 포도막염 및 전체 포도막염에 효과가 뛰어나다. 용량은 치료 반응 및 내약성에 따라 12.5~15 mg/w 의 용량으로 시작하여 25 mg까지 증량 가능하고, 엽산 1 mg/d 와 함께 복용한다. 소아에서 비교적 안전하여 주로 첫 치료로 사용되며, 짧은 기간 동안 스테로이드와 병합 치료 후 단독으로 유지한다. 태아 기형 및 유산을 일으킬 수 있어 임산부에서는 금기이다. 가장 흔한 부작용은 구역, 구토 및 구내염이다. 위장관 장애로 경구 복용이 힘든 경우 근육내 주사나 피하 주사로 투여 가능하다. 또 다른 부작용으로는 간 독성, 혈구 감소증 및 간질성 폐렴이 있다. 치료 시작 전 간기능 검사 및 일반 혈액검사를 시행해야 하며, 치료 후에는 8~12주 간격으로 추적 검사를 시행한다. 2번의 추적 검사에서 AST나 ALT 수치가 정상치의 2배 이상 상승하면 반드시 용량을 감소해야 하며, 정상치의 2배 미만으로 상승하는 경우라도 용량을 감소하는 것이 좋다.


메토트렉세이트를 사용할 수 없거나 8주 치료에도 치료 반응이 없으면
메토트렉세이트를 사용할 수 없거나 8주 치료에도 치료 반응이 없으면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