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발성 포도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669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12월 12일 (목)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검사)
12번째 줄: 12번째 줄:
시력과 펜라이트 검사는 많은 정보를 제공해준다. 교정 시력뿐 아니라 소공 시력 또한 유용한데, 소공 시력으로 저하가 있다면 황반 질환일 가능성이 많다. 포도막염 환자에서는 [[낭포 황반부종]] (CME) 이 가장 혼한 황반 질환이므로, 소공 시력으로 시력 감소를 보이면 [[낭포 황반부종|CME]]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펜라이트 검사로는 구심 동공운동 장애를 알아낼 수 있는데 이는 [[베체트병]]에서 특히 흔히 발생하는 페쇄성 혈관염으로 인해 생긴다,또한 펜라이트 검사로 급성 홍채섬모체염의 특징인 섬모체 충혈 및 동공 축동도 알아낼 수 있다.
시력과 펜라이트 검사는 많은 정보를 제공해준다. 교정 시력뿐 아니라 소공 시력 또한 유용한데, 소공 시력으로 저하가 있다면 황반 질환일 가능성이 많다. 포도막염 환자에서는 [[낭포 황반부종]] (CME) 이 가장 혼한 황반 질환이므로, 소공 시력으로 시력 감소를 보이면 [[낭포 황반부종|CME]]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펜라이트 검사로는 구심 동공운동 장애를 알아낼 수 있는데 이는 [[베체트병]]에서 특히 흔히 발생하는 페쇄성 혈관염으로 인해 생긴다,또한 펜라이트 검사로 급성 홍채섬모체염의 특징인 섬모체 충혈 및 동공 축동도 알아낼 수 있다.


눈꺼풀 및 결막을 세극등으로 검사하면 육아종 및 결절을 알아낼 수 있다、그러나 전안부 검사에서 질적으로 가장 중요한 부분은 각막 검사이다, 각막침착물의 특징 및 위치름 검사해야 하는데,육아종성 각막침
눈꺼풀 및 결막을 세극등으로 검사하면 육아종 및 결절을 알아낼 수 있다. 그러나 전안부 검사에서 질적으로 가장 중요한 부분은 각막 검사이다, 각막 침착물의 특징 및 위치름 검사해야 하는데, 육아종성 각막 침착물은 크고 번들거리며 혼히 융합해 있다. 이러한 육아종성 각막 침착물은 단독 소견으로 [[사르코이드증]]과 같은 육아종성 포도막염을 진단 내릴 수는 없지만 진단 가능성을 높여주는 소견이다. 대부분의 포도막염에서 각막 침착물은 아래 1/3 각막 내피세포 쪽에 집중되어 있지만, 산재해서 방사상을 띤다면 [[거대세포 바이러스 망막염]], [[폭스 홍채 이색 섬모체염]],단순포진 각막포도막염 중 하나로 감별 진단할 있다. 각막 지각도 감소되어 있다면 단순포진 각막포도막염으로 진단할 수 있다.
착불은 크고 번들거리며 혼히 융합해 있다. 이러한 육아
종성 각막침착물은 단독 소견으로 사르코이드증과 같
육아종성 포도막염을 진단 내릴 수는 없지만 진단
능성을 높여주는 소견이다. 대부분의 포도막염에서
막침착물은 아래 1/3 각막내피세포 쪽에 집중되어 있지
만,산재해서 방사상을 띤다면 거대세포바이러스 망막
염,폭스홍채이색홍채섬모체염,단순포진 각막포도막염
중 하나로 감별진단할 있다,각막지각도 감소되어
다면 단순포진 각막포도막염으로 진단할 수 있다.


반면 전안부 검사 중 양적인 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염증의 등급을 매기는 것이다,방수 흐림과 염중 세포에 등급을 매길 수 있는데, 염증 세포가 더 재현성이 높고 유용하다. The Standardization of Uveitis Nomenchture (SUN) Working Group의 둥급 체계는아래와 같다.3 그러므로 홍채섬모체염에서 치료의 적정성을 평가하는 기준도 주로 전안부의 염증 상태이다.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표. SUN Working Group의 등급 체계
|-
!등급||세포||방수 흐림
|-
|0
|colspan=2|전혀 없음
|-
|trace||1~5||
|-
|1+||6~15||아주 근소함
|}
{{참고}}
{{참고}}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