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검사 및 진단)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중심 장액 맥락망막병증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CSC)'''{{망막}} 은 맥락망막의 질환 중 하나로, 후극부에 국한된 경계가 분명한 장액성 감각신경망막 박리 또는 망막 색소상피 | '''중심 장액 맥락망막병증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CSC)'''{{망막}} 은 맥락망막의 질환 중 하나로, 후극부에 국한된 경계가 분명한 장액성 감각신경망막 박리 또는 [[망막 색소상피 박리]] (RPED) 가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부분 저절로 호전되지만 만성적으로 지속되거나 자주 재발하는 경우는 치료가 필요하다. | ||
== 역사 == | == 역사 == | ||
1866년 von | 1866년 von Graefe<ref>von Graefe A. Central recurrent retinitis.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1866;12:211-5.</ref>가 중심성 재발 망막염으로 처음 기술한 이래, 1965년 Maumenee<ref>Maumenee AE. Macular Diseases : Clinical Manifestations. ''Trans Am Acad Ophthalmol Otolaryngol''. 1965 Jul-Aug;69:605-13. [https://pubmed.ncbi.nlm.nih.gov/14345766/ 연결]</ref>는 황반 박리가 [[망막 색소상피]] (RPE) 에서의 누출 때문에 생긴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1967년 Gass<ref>Gass JD. Pathogenesis of disciform detachment of the neuroepithelium. ''AJO''. 1967 Mar;63(3):Suppl:1-139. [https://pubmed.ncbi.nlm.nih.gov/6019308/ 연결]</ref>가 중심성 장액 맥락망막병증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였다. | ||
== 역학 == | |||
내과적 망막질환 중에서 [[나이관련 황반변성]] (AMD), [[당뇨 망막병증]] (DR), [[망막 분지정맥 폐쇄]] (BRVO) 에 이어 네 번째로 후극부에서 자주 발생하는 질환으로, 주로 건강한 남자에게서 경도에서 중등도의 시력 저하를 일으킨다. <span style='color:blue;'>남자</span>가 여자보다 6배 정도 많고<ref>Ross A et al. Review and update of CSC. ''Curr Opin Ophthalmol''. 2011 May;22(3):166-73. [https://pubmed.ncbi.nlm.nih.gov/21427570/ 연결]</ref>, 대개 <span style='color:blue;'>30~50대까지의 청, 장년층</span>에서 많이 발생한다. 처음 진단 시 양안 동시 발병률은 4% 정도이지만 양안을 침범하는 경우는 40%까지도 높게 보고되며, 주로 만성 환자에서 양안성이 많은 경향이 있다. | |||
인종적으로도 차이가 있어 흑인에서는 매우 드물고 <span style='color:blue;'>백인, 동양인 등</span>에 빈번하게 발생하며, 미국 거주 흑인들에서는 드물게 나타나지만 발생 시 심한 양상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스트레스에 대한 과도한 교감신경성 반응을 보이는 성향 때문으로 보인다. 가족력이나 계절적으로 봄에 많이 발생한다는 보고도 있으나 확실하지는 않다. | |||
== 병태 생리 == | == 병태 생리 == | ||
12번째 줄: | 11번째 줄: | ||
== 위험 인자 == | == 위험 인자 == | ||
대부분 특발성으로 발생하나, 건강한 성인 중에 이혼, 파산, 가까운 친지의 질병 등의 스트레스로부터 큰 부담을 갖고 긴장을 잘 놓지 못하는 <span style='color:blue;'>type A personality</span>인 사람들에서 자주 발생한다. 혈중 카테콜라민의 농도 증가(4배 정도), 코티솔 농도 증가(40배 정도)가 긴장에 의한 망막 색소상피 병변의 발생을 매개하는 고리가 되는 것으로 보인다. | 대부분 특발성으로 발생하나, 건강한 성인 중에 이혼, 파산, 가까운 친지의 질병 등의 스트레스로부터 큰 부담을 갖고 긴장을 잘 놓지 못하는 <span style='color:blue;'>type A personality</span>인 사람들에서 자주 발생한다<ref>Gelber GS et al. Loss of vision due to CSC following psychological stress. ''Am J Psychiatry''. 1987 Jan;144(1):46-50. [https://pubmed.ncbi.nlm.nih.gov/3799839/ 연결]</ref><ref>Yannuzzi LA. Type-A behavior and CSC. ''Retina''. 1987 Summer;7(2):111-31. [https://pubmed.ncbi.nlm.nih.gov/3306853/ 연결]</ref>. 혈중 카테콜라민의 농도 증가 (4배 정도), 코티솔 농도 증가 (40배 정도) 가 긴장에 의한 [[망막 색소상피|RPE]] 병변의 발생을 매개하는 고리가 되는 것으로 보인다. 건강 염려증, 히스테리, 전환 신경증 등이 있는 경우 잘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 ||
<span style='color:blue;'>전신 스테로이드 농도 증가</span>도 질환의 발생을 높인다. 즉 임신, 말기 신부전, 장기 이식, 내인성 코티솔 생산 증가, 비강내 스테로이드 흡인, 스테로이드 전신 치료 등을 받고 이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 |||
그 외 위험 인자로는 항생제 사용, 흡연, 음주, 치료되지 않은 고혈압,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이 있다. 위장의 H.pylori 감염과 연관이 있다는 주장도 있으나 여전히 논란거리로 남아 있다. | |||
== 분류 == | == 분류 == | ||
* 급성형 : 3~6개월 이내에 저절로 좋아짐 | * 급성형 : 3~6개월 이내에 저절로 좋아짐 |